뇌하수체 선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시야변화
목적 : 시신경교차를 침범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질환인 뇌하수체 선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시야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9년 7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본원 신경외과에서 뇌하수체 선종으로 진단받고 수술한 52명의 환자 중 시야변화를 동반할 수 있는 후극부질환이 없으며, 신뢰도가 높은 시야검사결과를 보인 29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시야검사 결과 발견된 시야결손의 형태 중 정상범위를 보인 환자가 18명으로 가장 많았다, 시신경교차의 하방을 침범한 4명의 환자에서는 모두 양안 이측 반맹의 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10), , pp.1690-1696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시신경교차를 침범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질환인 뇌하수체 선종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시야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9년 7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본원 신경외과에서 뇌하수체 선종으로 진단받고 수술한 52명의 환자 중 시야변화를 동반할 수 있는 후극부질환이 없으며, 신뢰도가 높은 시야검사결과를 보인 29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시야검사 결과 발견된 시야결손의 형태 중 정상범위를 보인 환자가 18명으로 가장 많았다, 시신경교차의 하방을 침범한 4명의 환자에서는 모두 양안 이측 반맹의 시야변화가 나타났으며, 전하방을 침범한 2명은 양안 상이측 사분맹이 관찰되었다. 시신경교차의 측하방을 침범한 2명의 환자는 각각 침범한 측의 맹과 편측의 이측 반맹을 보였다. 나머지 3명은 시야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였으나 방사선학적 검사상 종양의 시신경침범이 없었다. 종양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빈도의 시야변화를 보였으나 그 상관관계는 단순히 비교하기 어려웠다.
결론 : 뇌하수체 선종은 크기와 시신경교차의 침범부위에 따라 다양한 시야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and size of pituitary adenoma and visual field change.
Methods: Fifty-two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ituitary adenoma and underwent tumor resection at the Department of Neurosurgery in our hospital between July 1999 and July 2004. Among them, we retrospectively studied that location and size of pituitary adenoma as related to visual field changes in 29 patients who had credible perimetry results and no other ophthalmologic problems that caused visual field changes. We obtain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ize and location of pituitary adenoma using MRI, and performed ophthalmologic examination such as perimetry and fundus examination.
Results: There were no visual field changes in 18 patients. The visual field changes observed were as follows; bitemporal hemianopsia in 4 patients who had inferior involvement of optic chiasm; scotoma in one eye and temporal hemianopsia in the other eye in 2 patients who had lateral and inferior involvement; bitemporal superior quadranopsia in 2 patients who had anterior and inferior involvement; and 3 patients showed visual field changes, but they had no optic nerve involvement of pituitary adenoma. The size of adenoma was not exactly related to visual field changes.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sual field changes can be influenced by the location and size of pituitary adenoma.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