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 절제술에서 점안 마취와 자가조절정맥마취의 병합효과

목적 : 유리체 절제술 환자에서 점안 마취와 자가조절정맥마취의 병합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1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유리체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점안 마취와 자가조절정맥마취를 하면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통증 및 진정 수준을 평가하였고, 수술시간, 성별, 연령, 유리체 절제술 외 다른 술기와 통증과의 관련성 및 신체활력징후의 변화 등 마취합병증도 조사하였다. 결과 : 총 53명 53안이 포함되었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75세이었으며, 성비는 남녀 각각 25:28 이었다. 환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5), , pp.787-792
Hauptverfasser: 문준웅, Jun Woong Moon, 임영진, Young Jin Lim, 정흠, Hum Chung, 유형곤, Hyung Gon Y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유리체 절제술 환자에서 점안 마취와 자가조절정맥마취의 병합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1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유리체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점안 마취와 자가조절정맥마취를 하면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통증 및 진정 수준을 평가하였고, 수술시간, 성별, 연령, 유리체 절제술 외 다른 술기와 통증과의 관련성 및 신체활력징후의 변화 등 마취합병증도 조사하였다. 결과 : 총 53명 53안이 포함되었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75세이었으며, 성비는 남녀 각각 25:28 이었다. 환자의 통증척도(VAS: Visual analogue scale)는 평균 53.61 (5~67)이었고, 진정 수준은 모두 Grade 1 (64%) 또는 2 (36%)이었다. 통증 조절이 되지 않아 테논낭하 마취를 추가한 2명의 환자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수술 진행에 어려움이 없었다. 수술 중 환자와의 의사소통과 협조도 만족스러웠으며, 심혈관계의 불안정, 호흡억제 등 마취의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 일반적인 유리체절제술환자에서 점안마취와 자가조절정맥마취를 시행하여 마취의 부작용 없이 적절한 수준의 진통 및 진정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opical anesthesia combined with patient-controlled sedation analgesia for posterior vitrectomy. Methods: All patients requiring vitrectomy from December 2003 to January 2004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underwent surgery with topical anesthesia combined with patient-controlled sedation analgesia. The levels of intraoperative pain and sedation were recorded. The associations of operation time, combined vitreoretinal procedures, and age with intraoperative pain were investigated. Hemodynamic instability and respiratory depression were checked throughout the operation. Results: Forty-three patients (53 eyes) underwent vitrectomy under topical anesthesia combined with patient-controlled sedation analgesia. The mean age was 51.75±13.68 years and the sex ratio was 25:28 (male:female). The mean of VAS (visual analogue scale) was 53.61 (5~67). The level of intraoperative sedation was grade 1 (64%) or 2 (36%). No anesthesia-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found. Conclusions: In spite of relatively high VAS, there were no remarkable difficulties in performing posterior vitrectomy and appropriate levels of intraoperative sedation and cooperation were available without anesthesia-associated com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