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교정수술후 인공수정체도수계산을 위한 새로운 각막곡률치 측정방법

목적 : 자동각막곡률계와 Orbscan?瑛? 이용하여 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나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후 각막곡률치(K)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후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11명 12안을 대상으로 하였고, 5안은 PRK를 7안은 LASIK을 시행하였다. 각막곡률치 측정시 자동각막곡률계를 사용하여 구한 것을 RK라 하고, 각막전면은 자동각막곡률계를 이용하고, 각막후면은 Orbscan?瑛? 이용하여 구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5), , pp.859-864
Hauptverfasser: 강재훈, Jae Hoon Kang, 박종일, Jong Il Park, 이경헌, Kyung Hun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자동각막곡률계와 Orbscan?瑛? 이용하여 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나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후 각막곡률치(K)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후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11명 12안을 대상으로 하였고, 5안은 PRK를 7안은 LASIK을 시행하였다. 각막곡률치 측정시 자동각막곡률계를 사용하여 구한 것을 RK라 하고, 각막전면은 자동각막곡률계를 이용하고, 각막후면은 Orbscan?瑛? 이용하여 구한 것을 K1, 각막전면과 각막후면 모두 Orbscan?瑛? 이용하여 구한 것을 K2라 하였으며, K1과 K2 중 낮은 값을 Low K라 하였다. 백내장 수술 2개월 후 현성굴절검사를 시행하여 구한 구면렌즈대응치를 SRK/T 공식에 역으로 대입하여 얻은 값을 실제 각막곡률치(Real K)라 정의하고, RK, K1, K2, Low K와 비교하였다. 결과 : RK, K1, K2와 Real K의 차이의 평균은 각각 3.08±0.98D, 0.41±0.66D, 0.27±0.77D였으며, K1과 K2의 경우 9안(75%)에서 Real K와 1D이내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Low K와 Real K의 차이의 평균은 -0.02±0.53D이었으며, 12안(100%) 모두에서 1D범위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 굴절교정수술 후 인공수정체 도수 계산시 각막곡률치로 Low K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였다. Purpose: To report a new method for measuring corneal refractive power aft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 and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using the Orbscan?? and autorefractokeratometer. Methods: This study involved 12 cases that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Five cases had PRK and seven had LASIK. Keratometric values were evaluated with three different methods. The first, defined as RK, used an autorefractokeratometer (AK) (n=1.3375). The second, defined as K1, added the posterior surface diopter using AK and anterior surface diopter using an Orbscan. The last, defined as K2, added the posterior surface diopter and the anterior surface diopter using an Orbscan. Low K was a lower value between K1 and K2. RK, K1, K2 and Low K were compared with the back-calculated K value (Real K) 2 months after cataract surgery. Results: The mean differences between RK, K1, K2, Low K and Real K were 3.08±0.98D, 0.41±0.66D, 0.27±0.77D, and -0.02±0.53D, respectively. In 9 of the 12 patients the difference was within 1D (75%) when either K1 or K2 was selected and in all patients, the difference between Low K and Real K was within 1D. Conclusions: The method of IOL calculation using Low K showed more accurate and predictable results in patients who had had cataract surgery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KCI Citation Count: 5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