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 양안 열공망막박리의 임상적 특징

목적 : 동시 양안 열공망막박리(simultaneous bilateral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및 술후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안과를 방문하여 1995년 1월에서 2004년 6월까지 양안 열공망막박리로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술후 6개월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22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조사된 동시 양안 망막박리의 빈도는 792명 중 22명으로 2.8%였고, 나이는 평균 2...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7), , pp.1121-1127
Hauptverfasser: 김은아, Eun Ah Kim, 장우혁, Woo Hyok Chang, 박영훈, Young Hoon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동시 양안 열공망막박리(simultaneous bilateral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및 술후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안과를 방문하여 1995년 1월에서 2004년 6월까지 양안 열공망막박리로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술후 6개월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환자 22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조사된 동시 양안 망막박리의 빈도는 792명 중 22명으로 2.8%였고, 나이는 평균 27.6세였으며,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다. 초진시 18명이(81.8%) 한눈의 시력저하와 시야변화를 호소했고, 30안(68.2%)에서 -4.00D이상의 근시가 있었다. 망막박리의 범위는 2사분원이 가장 많았고, 망막열공의 형태는 격자변성 내 위축망막원공, 위치는 하이측이 가장 많았다. 일차수술로 해부학적 성공은 37안 중 34안(91.9%)에서 볼 수 있었다. 결론 : 동시 양안 열공망막박리는 젊은 나이, 근시와 동반된 경우가 많으며, 망막열공의 형태와 위치는 각각 격자변성 내 위축망막원공, 하이측이 가장 많았다. Purpose: To analyze the incid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ostoperative prognosis of simultaneous bilateral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SR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22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or treatment of SRD and who had been in regular surveillance for at least 6 months. Results: The incidence of SRD was 22 patients among 792 (2.8%). Eleven were male and 11 were female, and the average age was 27.6 years. Eighteen patients (81.8%) complained of visual disturbance and visual field defect of one eye, and myopia of more than -4.00D was noted in 30 eyes (68.2%). The size of the detached area was 2 quadrants in 19 eyes (43.2%). The most common type of retinal break was atrophic hole with lattice degeneration. The most common location of the break was the inferotemporal quadrant. The anatomical success rate of primary operation was 91.9% (34 of 37 eyes). Conclusions: Simultaneous bilateral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was associated with young age, and myopia. As for the retinal break, the most common type was atrophic hole with lattice degeneration, and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the inferotemporal quadrant.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