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선종과 연관된 만성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1예

목적 : 저자들은 자연 치유되지 않던 양안 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발견된 뇌하수체 선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6개월 이상 치유되지 않는 양안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의 42세 여자에서 내분비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 코티솔 수치를 검사한 결과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 내과에 협진 진료를 의뢰하였다. 결과 : 내과에서 뇌하수체선종에 의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하고 신경외과에서 뇌하수체종양을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술 1개월 후 혈청 코티솔은 정상으로 나타났고 이후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2), , pp.323-327
Hauptverfasser: 김기석, Ki Seok Kim, 이승재, Seung Jae Lee, 이원기, Won Ki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저자들은 자연 치유되지 않던 양안 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발견된 뇌하수체 선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6개월 이상 치유되지 않는 양안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의 42세 여자에서 내분비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혈청 코티솔 수치를 검사한 결과 비정상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 내과에 협진 진료를 의뢰하였다. 결과 : 내과에서 뇌하수체선종에 의한 쿠싱증후군으로 진단하고 신경외과에서 뇌하수체종양을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수술 1개월 후 혈청 코티솔은 정상으로 나타났고 이후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은 호전되었으며 시력 개선을 보였다. 결론 : 잦은 재발 또는 치유되지 않는 중심성장액맥락망막병증 환자에서 혈청 코티솔 수치를 확인하여 드물게 나타나는 일차적인 내분비 계통의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long-standing bilateral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associated with pituitary adenoma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thods: A 42-year-old female had chronic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that did not improve for 6 months. To evaluate her endocrine state, we checked her serum cortisol level, and found it to be abnormally high. We then referred the patient to a physician. Result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ushing's syndrome due to pituitary adenoma. The tumor was removed by trans-sphenoidal surgical resection. One month after surgery, her serum cortisol level decreased to normal, her visual acuity improved and her fundus examination showed no abnormal findings. Conclusions: We propose that patients with chronic, recurrent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of unknown origin should undergo evaluation of their serum cortisol levels to determine if surgery is needed to treat a primary endocrine abnormality. J Korean Ophthalmol Soc 47(2):323-327, 2006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