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간섭단층촬영에 내장된 시신경섬유층두께 지표와 새로 계산된 지표의 녹내장 진단 정확도 비교

목적 :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시신경유두분석과 시신경섬유층두께분석을 하여 어떤 지표가 녹내장 진단에 가장 유용한지를 알고, 이를 내장된 정상인의 지표(99%, 95%값)와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 284명 499안을 정상군, 녹내장의증군, 녹내장군으로 구분하여 시신경유두분석과 시신경섬유층두께분석을 한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정상군 134안, 녹내장의증군 128안, 녹내장군 237안이였고 녹내장군과 비녹내장군 사이에 시신경섬유층두께분석의 6가지 지표 모두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표중 평균시신경섬유층두께가 cuto...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2), , pp.243-252
Hauptverfasser: 강규동, Kui Dong Kang, 박찬기, Chan Kee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빛간섭단층촬영으로 시신경유두분석과 시신경섬유층두께분석을 하여 어떤 지표가 녹내장 진단에 가장 유용한지를 알고, 이를 내장된 정상인의 지표(99%, 95%값)와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 284명 499안을 정상군, 녹내장의증군, 녹내장군으로 구분하여 시신경유두분석과 시신경섬유층두께분석을 한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정상군 134안, 녹내장의증군 128안, 녹내장군 237안이였고 녹내장군과 비녹내장군 사이에 시신경섬유층두께분석의 6가지 지표 모두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지표중 평균시신경섬유층두께가 cutoff value 92.39 mm2에서 시야결손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 및 판별력을 보였고 하측 평균시신경섬유층두께 순이었다. 연령, Horizontal Integrated Rim Area, 평균시신경섬유층두께를 조합한 판별식의 판별력은 각각을 이용한 판별력보다 높았고, 정확도 76.2%, 민감도 73.1%, 특이도 73.1%였다. 결론 : 평균시신경섬유층두께, 하측 평균시신경섬유층두께 순으로 녹내장 진단에 유용하였고 새로운 판별식은 내장된 지표보다 민감도, 정확도면에서 우수하여 녹내장 진단에 유용하다. Purpose: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 of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analysis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to compare the diagnostic precision between the new discriminant formula and the preprogrammed indicator (95%, 99% cut off value of normal RNFL thickness) in the diagnosis of glaucoma. Methods: The study comprised 499 eyes of 284 patients. Routine ophthalmic examinations, fundus examination, visual field test, OCT optic nerve head analysis and OCT RNFL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normal, suspected glaucoma, and glaucoma groups. Results: There were 237 glaucomatous eyes and all parameters of the OCT RNFL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laucoma and non-glaucoma groups. The average RNFL thickness was mos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visual field indexes and was the most useful parameter in the detection of glaucoma. Using age, horizontal integrated rim area (HIRA) and average thickness, the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new discriminant formula were 76.2%, 73.1% and 73.1% respectively. Conclusions: Average thickness was the most useful parameter in the detection of glaucoma. The next most useful parameter was inferior average thickness, and both were more precise than the preprogrammed indicator. The new discriminant formula is useful in the diagnosis and follow-up of the glaucoma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47(2):243-252, 2006 KCI Citation Count: 3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