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각막절개도 헤드의 선택을 통한 맞춤식각막절개방식의 라식

목적 : 술 전에 예측한 잔여각막두께에 따라 미세각막절개도 M2 (Moria, France) 헤드를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방법으로 라식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시력성적과 각막절편 합병증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라식 수술을 시행한 104명 195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예상 잔여각막두께가 290 µm이상인 경우는 130헤드 (1군)를, 290 µm이하인 경우는 110헤드(2군)를 각각 사용하여 모든 안에서 최소 잔여각막두께를 270 µm이상 남겼다. 두 군 간의 수술 전후 시력과 구면렌즈대응치 및 수술 중과 수술...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2), , pp.192-197
Hauptverfasser: 강민호, Min Hon Kang, 송유미, Yoon Min Song, 강성민, Sung Min Kang, 박영숙, Young Sook Park, 최철영, Chul Young Choi, 이윤정, Yoon Jung Lee, 이병로, Byung Ro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술 전에 예측한 잔여각막두께에 따라 미세각막절개도 M2 (Moria, France) 헤드를 선택적으로 교체하는 방법으로 라식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시력성적과 각막절편 합병증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라식 수술을 시행한 104명 195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예상 잔여각막두께가 290 µm이상인 경우는 130헤드 (1군)를, 290 µm이하인 경우는 110헤드(2군)를 각각 사용하여 모든 안에서 최소 잔여각막두께를 270 µm이상 남겼다. 두 군 간의 수술 전후 시력과 구면렌즈대응치 및 수술 중과 수술 후의 각막절편 합병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 평균 관찰기간은 8.1개월이었다. 1군은 61명 115안, 2군은 43명 80안이었으며 수술 전 평균 구면렌즈대응치, 평균 각막두께는 1군은 각각 -4.04±1.63 Diopter (D), 549.40±39.16 µm이었으며, 2군은 각각 -6.61±3.43 D, 525.16±24.53 µm이었다. 술 후 1주, 3개월, 6개월의 평균 나안시력과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술 후 3, 6개월의 평균 구면렌즈대응치(p=0.005, 0.013)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또한 두 군 간의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의 발생양상 및 빈도의 차이가 없었다(p=0.36). 결론 : 수술 전 각막 두께에 따라 미세각막절개도의 헤드를 적절히 교체하여 각막절편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의 라식은 잔여각막을 안전하게 남길 수 있었으며, 시력결과도 양호하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s and visual outcomes with M2 130 head (thick flap group) and M2 110 head (thin flap group). Methods: One-hundred-ninety-five eyes of 104 patients who underwent LASIK with the Moria M2 microkeratome and Allegretto-wave laser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election of M2 heads was based on preoperative pachymetry and estimated ablation depth.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flap-related complications, mean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and mean spherical equivalent (MSE)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ults: Mean follow-up was 8.1 months. The number of eyes, preoperative MSE and mean corneal thickness of M2 130 were 115, -4.04±1.63diopter (D) and 549.40±39.16µµm, and 85, -6.61±3.43D and 525.16±24.53 µm, respectively, in the 110 head group. Mean UCVA and MSE at postoperative 1 week, 3 months and 6 months were 1.00±0.18, -0.26±0.49D; 1.07±0.68, -0.40±0.51D; and 1.01±0.22, -0.51±0.50D, respectively, in the 130 head group, and 0.90±0.23, -0.46±1.02D; 0.91±0.23, -0.67±0.79D; 0.85±0.46, -0.75±0.88D, respectively, in the 110 head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flap-related complication rates between the two groups (p=0.316).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operative mean UCVA or MSE between the two groups (p>0.05), except for MSE at the third and sixth postoperative months (p=0.005, 0.013). Conclusions: Proper selection of M2 heads by preoperative pachymetry allowed for an adequate residual stroma bed with good visual outcome. Utilizing one single microkeratome and switching between two heads was advantageous and cost-effect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