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이상 떨어진 다발성 망막열공에 의한 망막박리 환자에서 기체망막유착술을 시행한 3예

목적 : 일반적인 기체망막유착술의 적응증이 아닌 1시간 이상 떨어져 있는 다발상 망막열공에 의한 망막박리 환자에게 기체망막유착술을 시행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11월부터 12월까지 1시간 이상 떨어져 있는 망막열공을 가진 망막박리 환자 3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1안은 기체망막유착술 시행전 유리체를 먼저 0.5 cc 흡인후 0.8 cc SF6 가스를 주입하였고, 2안은 0.5 cc SF6 가스를 주입후 적당한 자세로 한 열공을 먼저 유착시킨 후 다시 자세 변경...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12), , pp.2110-2114
Hauptverfasser: 조우형, Woo Hyung Cho, 이동초, Dong Cho Lee, 장무환, Moo Hwan Ch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일반적인 기체망막유착술의 적응증이 아닌 1시간 이상 떨어져 있는 다발상 망막열공에 의한 망막박리 환자에게 기체망막유착술을 시행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11월부터 12월까지 1시간 이상 떨어져 있는 망막열공을 가진 망막박리 환자 3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진료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1안은 기체망막유착술 시행전 유리체를 먼저 0.5 cc 흡인후 0.8 cc SF6 가스를 주입하였고, 2안은 0.5 cc SF6 가스를 주입후 적당한 자세로 한 열공을 먼저 유착시킨 후 다시 자세 변경하에 순차적으로 망막유착을 시도하였다. 결과 : 3안에서 해부학적 망막유착이 유지되었으며, 기능적으로 시력이 호전되었다. 결론 : 순차적인 자세변경을 통해 망막을 유착시키거나, 유리체 흡인후 기체망막유착술을 시행하는 것 모두 성공적인 망막유착 결과를 얻을수 있었다. 따라서 1시간 이상 떨어져 있는 다발성 망막열공에 의한 망막박리환자에서도 기체망막유착술이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rforming pneumoretinopexy in patients without the conventional indication of pneumoretinopexy but with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by multiple retinal tears separated over 1 hour in distance. Methods: Three patients with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by multiple retinal tears separated over 1 hour in distance from November 2003 to December 2003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reatment records of the patients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In one case, when performing pneumoretinopexy, 0.5 cc of vitreous was aspirated followed by an injection of 0.8 cc SF6 gas. In the other two cases, after injecting 0.5 cc of SF6 gas, one retinal tear was adhered in the proper position. Then, sequential retinal adhesion was attempted by changing the position. Results: In all three cases, anatomical retinal adhesion was maintained, and visual acuity functionality was improved. Conclusions: Both sequential retinal adhesion by changing the position and performing pneumoretinopexy after vitreous aspiration are successful method of retinal adhesion. Therefore, pneumoretinopexy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dical treatment in patients with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by multiple retinal tears separated over 1 hour in distance. KCI Citation Count: 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