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입 전 스테로이드 점안 선별검사의 유용성
목적 :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입(IVTA)시 발생할 수 있는 안압상승의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한 점안 선별검사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IVTA를 시술 받은 환자 9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별검사는 Prednisolone (1%) 점안액을 시술예정인 안에 1일 4회 총 3주간 점안 후 안압상승이 5 mmHg이하인 경우만 시술받는 것으로 하였다. 선별을 거친 후 IVTA를 실시한 군(A군)과 선별하지 않은 군(B군)으로 나눈 후 술 후 1주,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에 안압을 측정하였다. 결과 :...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12), , pp.2028-2036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유리체내 트리암시놀론 주입(IVTA)시 발생할 수 있는 안압상승의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한 점안 선별검사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IVTA를 시술 받은 환자 9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별검사는 Prednisolone (1%) 점안액을 시술예정인 안에 1일 4회 총 3주간 점안 후 안압상승이 5 mmHg이하인 경우만 시술받는 것으로 하였다. 선별을 거친 후 IVTA를 실시한 군(A군)과 선별하지 않은 군(B군)으로 나눈 후 술 후 1주,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에 안압을 측정하였다.
결과 : 술 후 녹내장약 사용이 필요한 경우는 A군 1안(3.1%), B군 10안(17.9%)이었으며 이중 1안은 수술적 치료를 요하였다. 두 군의 약물 사용 빈도를 분석한 결과 A군에서 B군보다 녹내장 약물사용의 빈도가 유의하게 적었다(P∠0.05). 술 전 보다 안압이 5 mmHg이상 상승한 경우는 B군에서 2개월 및 3개월째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은 빈도를 보였다(P∠0.05).
결론 : 선별한 군에서 더 적은 녹내장약의 사용 및 안압상승 빈도를 보였다. 선별검사 후 IVTA를 시술한다면 안압상승에 의한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creening of high risk groups with topical steroids due to increased ocular pressure by intravitreal triamocinolone injection (IVTA).
Methods: We selected 96 eyes that had undergone IVTA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04. The screening method used was as follows; We administered 4 drops daily of prednisolone (1%) eye drops for 3weeks and included patients with an intraocular pressure increase of less than 5 mmHg for the procedure. Two groups consisting of the post-screening IVTA group (group A) and non-screening group (group B) were classified, and intraocular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Goldman applanation tonometer at 1 week, 1 month, 2 months, 3 months an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One patient in group A (3.1%) required glaucoma medication compared with 10 patients in group B (17.9%), and one of these group B patients required surgical intervention. Chi-square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glaucoma medication use in group A compared with group B (P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