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안구내염의 초음파 소견
목적 : 감염성 안구내염에서 초음파 검사 소견과 임상 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감염성 안구내염 38안의 초음파 소견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 38안 중 내인성 안구내염, 술후 안구내염이 14안 및 11안으로 많았다. 각막염에 의한 이차성 안구내염의 뒤유리체 혼탁의 정도가 유의하게 심하였고, 외상성 안구내염의 유리체막하 혼탁의 정도가 낮았다. 배양검사상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CNS)가 가장 많았고,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대상안에서 CNS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4), , pp.649-655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감염성 안구내염에서 초음파 검사 소견과 임상 양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여러가지 원인에 의한 감염성 안구내염 38안의 초음파 소견을 분석, 비교하였다.
결과 : 38안 중 내인성 안구내염, 술후 안구내염이 14안 및 11안으로 많았다. 각막염에 의한 이차성 안구내염의 뒤유리체 혼탁의 정도가 유의하게 심하였고, 외상성 안구내염의 유리체막하 혼탁의 정도가 낮았다. 배양검사상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CNS)가 가장 많았고,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대상안에서 CNS나 원인균이 배양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유리체막하 혼탁의 정도가 심하였다. 초기 시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뒤유리체 혼탁의 정도가 있었으나, 최종 시력에 영향을 주는 소견은 없었다. 치료 방법으로 안구내 항생제 주사 13안, 유리체절제술 및 안구내 항생제 주사 6안, 안구내 항생제 주사 후 유리체 절제술 17안, 안구내용물제거술 2안 등이었다. 유리체 절제술로 전환한 17안의 뒤유리체 혼탁의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 안구 초음파 검사 소견은 감염성 안구내염의 진단 및 치료 방침의 결정, 예후 예측 등에 있어서 참고가 될 수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ultrasonographic findings and clinical features of infectious endophthalmitis.
Methods: We analyzed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38 eyes of 3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infectious endophthalmitis with various etiologies. The correlation between ultrasonographic findings and clinical features such as initial and final visual acuities were studied.
Results: Fourteen eyes were diagnosed with endogenous endophthalmitis and 11 eyes with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Posterior vitreous opacity in the endophthalmitis secondary to keratitis was more severe and subhyaloid opacity in the traumatic endophthalmitis was less severe.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was the most common causative agents. Subhyaloid opacity in the eyes where cultures were not performed, was more severe than in those where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 was identified. Among the various ultrasonographic findings only the degree of the posterior vitreous opacity was correlated with the initial visual acuity, and none of the finding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final visual acuity. Treatment modalities included intravitreal antibiotics injections in 13 eyes, immediate vitrectomies and antibiotics injection in 6 eyes, conversion to vitrectomy after antibiotics injection in 17 eyes, and eviscerations in 2 eyes. The grades of posterior vitreous opacity of the patients with conversion to vitrectomy after antibiotics injec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Conclusions: Ultrasonographic findings might be a useful factors in the diagnosis and the determination of treatment modality and may therefore be helpful in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uspected infectious endophthalmiti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