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유리체막 및 망막내경계막 제거술을 시행한 황반원공 망막박리의 수술결과

목적 : 황반원공으로 인한 망막박리로 유리체절제술 시행후 트리암시놀론으로 후부유리체피질 또는 망막전막을 염색하여 제거하고 Indocyanine green (ICG)으로 내경계막을 염색하여 제거하였을 경우 그에 따른 수술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황반원공으로 인한 망막박리를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및 초음파검사로서 후유리체 상태를 조사한 후 유리체절제술 시행 및 트리암실론을 이용한 후부유리체피질 및 망막전막의 제거와 ICG 염색을 이용한 내경계막의 제거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9), , pp.1491-1497
Hauptverfasser: 최명근, Myoung Geun Choi, 김현웅, Hyun Woong Kim, 윤일한, Il Han Yun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황반원공으로 인한 망막박리로 유리체절제술 시행후 트리암시놀론으로 후부유리체피질 또는 망막전막을 염색하여 제거하고 Indocyanine green (ICG)으로 내경계막을 염색하여 제거하였을 경우 그에 따른 수술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황반원공으로 인한 망막박리를 OC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및 초음파검사로서 후유리체 상태를 조사한 후 유리체절제술 시행 및 트리암실론을 이용한 후부유리체피질 및 망막전막의 제거와 ICG 염색을 이용한 내경계막의 제거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 가능하였던 9안을 대상으로 황반원공으로 인한 망막박리 수술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수술 결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 9안중 3안에서는 후유리체박리가 관찰되고 나머지 6안에서 망막전막 또는 후유리체해리가 관찰되었다. 총 9안중 7안에서 망막박리의 유착과 더불어 황반원공의 폐쇄가 이루어지고 1안에서는 황반원공의 폐쇄없이 망막박리의 유착이 이루어져서 88%의 해부학적 성공률을 보였고 1안에서 망막박리가 유착되지 않아서 2차 수술을 시행받은 후 망막박리의 유착을 보였다. 또한 9안중 7안에서 시력의 호전을, 1안에서 시력 변화가 없었고 나머지 1안에서 시력감소를 보여서 78%의 기능적 성공률을 보였다. 결론 : 황반원공 망막박리의 발생기전으로는 망막의 견인이 중요한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황반원공으로 인한 망막박리에 있어 ICG와 트리암실론을 이용한 내경계막 및 후부유리체피질 및 망막전막의 제거술이 해부학적 및 기능적으로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surgical outcome of vitreous surgery with removal of the internal limiting membrane assisted by indocyanine green (ICG) and the epiretinal membrane assisted by triamcinolone acetonide (TA.) Methods: We examined the posterior vitreous state with ultrasound and OCT. The procedures performed included pars plana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removal assisted by ICG and epiretinal membrane peeling assisted by TA. We prospectively examined 9 eyes with retinal detachment resulting from a macular hole and with follow-up periods longer than 12 months. The main outcome was evaluated by the anatomical success rate, functional success rat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In the 7 of 9 eyes, the retina was reattached with closure of the macular hole and without closure of the macular hole in 1 of 9 eyes. Successful retinal reattachment was achieved in 8 eyes (88%) after the initial surgery and in one eye after an additional operation. Visual acuity was improved in 7 eyes, was unchanged in one eye, and decreased in one eye. The functional success rate was 78%. Conclusions: In retinal detachment resulting from a macular hole, removal of the internal limiting membrane by ICG, and the posterior hyaloid membrane and epiretinal membrane by TA typically results in anatomical and functional success. KCI Citation Count: 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