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드 방수유출장치 삽입수술의 성공과 관련된 요인

목적 : 아메드 방수유출장치 삽입수술의 성공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난치성녹내장으로 아메드 방수유출장치를 삽입 받은 45명 45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녹내장약제의 사용과 무관하게 6∼21 mmHg의 안압에 도달한 경우를 성공으로 하였고, 경과관찰 도중 안압조절에 실패하거나, 추가적인 녹내장수술이 필요했던 경우를 실패로 하였다. 수술 전후의 임상인자들을 분석하여 성공군과 실패군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수술성공에 대한 Kaplan-Meier 생존율은 1년에 71.1%였다. 환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5, 46(9), , pp.1509-1517
Hauptverfasser: 이양원, Yang Won Lee, 임진호, Jin Ho Yim, 이성복, Sung Bok Lee, 김창식, Chang Sik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아메드 방수유출장치 삽입수술의 성공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난치성녹내장으로 아메드 방수유출장치를 삽입 받은 45명 45안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후 녹내장약제의 사용과 무관하게 6∼21 mmHg의 안압에 도달한 경우를 성공으로 하였고, 경과관찰 도중 안압조절에 실패하거나, 추가적인 녹내장수술이 필요했던 경우를 실패로 하였다. 수술 전후의 임상인자들을 분석하여 성공군과 실패군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 수술성공에 대한 Kaplan-Meier 생존율은 1년에 71.1%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안구의 좌·우측, 수정체 유무, 당뇨 또는 고혈압, 수술 전 안압과 녹내장약제수, 녹내장수술과 기타 안내수술 횟수 등은 성공군과 실패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테로이드 반응군보다 비반응군에서, 상비측보다 상이측부위에 아메드 방수유출장치를 삽입하였을 때 성공률이 더 높았다. 결론 : 아메드 방수유출장치의 안압하강은 스테로이드 비반응군에서 더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며, 수술부위의 선택에서 상비측과 상이측이 동일한 조건이라면 상비측보다는 상이측에 삽입할 경우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ccess of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in refractory glaucom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45 eyes of 45 patients that underwent Ahmed implant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refractory glaucoma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success criterion was a stable post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IOP) between 6 and 21 mmHg with or without antiglaucoma medications during the study period. Failure was defined as an abnormal IOP outside of the above range on two consecutive visits, and cases that needed additional surgery to control IOP or to treat devastating surgical complication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in various clinical factors before surgery between the success and failure groups. Results: The Kaplan-Meier cumulative success rate was 71.1% at 12 months. Among the various clinical factors age, gender, right or left eye, phakia or pseudophakia, systemic disease such as diabetes and hypertension, preoperative IOP, preoperative number of antiglaucoma medications, and the number of previous glaucoma or other ocular surger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uccess and failure groups. Implantation at the superotemporal site and steroid non-responsders of the fellow eye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success rate than the superonasal site and steroid responders, respectively, after Ahmed glaucoma valve implantation. Conclusions: The efficacy of lowering the IOP of an Ahmed glaucoma valve would be expected to be greater if the patient is a steroid non-responder. Given the same conditions in the superotemporal and superonasal areas, implanting the Ahmed glaucoma valve in the superotemporal quadrant showed an ito increased success rate. KCI Citation Count: 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