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낭에 발생한 과립구육종 1예

목적: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골수이식 후 완전 관해 상태에 있던 10세 여아에서 결막낭 종괴 형태로 발생한 과립구육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과 방법: 10세 여아가 1주전 발견된 우안 아래결막낭의 종괴 및 이물감을 주소로 본원 소아과에서 안과로 의뢰되었다. 환아는 수개월전 우안 아래눈꺼풀에 콩다래끼의 기왕력이 있었으며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3개월전 골수이식을 받고 완전 관해 중이었다. 내원 당시 우측 아래눈꺼풀에 경도의 부종과 함께 아래결막낭에 암적색의 비교적 단단한 종괴가 관찰되었다. 안구돌출이나 안운동에 제한은...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6), , pp.986-990
Hauptverfasser: 이현수, Hyun Soo Lee, 박주완, Joo Wan Park, 양석우, Suk Woo Ya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골수이식 후 완전 관해 상태에 있던 10세 여아에서 결막낭 종괴 형태로 발생한 과립구육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과 방법: 10세 여아가 1주전 발견된 우안 아래결막낭의 종괴 및 이물감을 주소로 본원 소아과에서 안과로 의뢰되었다. 환아는 수개월전 우안 아래눈꺼풀에 콩다래끼의 기왕력이 있었으며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3개월전 골수이식을 받고 완전 관해 중이었다. 내원 당시 우측 아래눈꺼풀에 경도의 부종과 함께 아래결막낭에 암적색의 비교적 단단한 종괴가 관찰되었다. 안구돌출이나 안운동에 제한은 없었고, 그 밖에 안과적 검사상 정상소견을 보였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전신 마취하에 절제 및 생검을 실시하였다. 결과: 수술시 경계가 명확한 12×6×5㎜ 크기의 종괴로 완전 절제되었고, 병리 조직 검사상 과립구육종으로 확진되었다. 수술 후 우안 아래결막낭의 종괴 및 아래눈꺼풀의 부종은 소실되었다. 그러나 수술 후 3주째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재발 소견 보여 집중치료를 받았으나, 수술 후 2달째 결국 사망하였다. 결론: 본 증례에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기왕력이 있는 환아에서 결막낭의 종괴가 발생한 경우 과립구육종의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the granulocytic sarcoma located at the conjunctival fornix in a 10-year-old girl with acute myeloid leukemia, who was in complete remission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Methods: A 10-year-old girl had a 1-week history of firm, dark brown conjunctival mass at lower fornix and mild lid swelling of the right eye. Several months previously she had had some chalazions at lower lid and a history of acute myeloid leukemia that was currently in complete remission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Other ocular manifestations were not specific. Excision of the conjunctival mass and a biopsy for diagnostic and therapeutic purposes were performed. Results: The 12×6×5㎜-sized mass was totally excised. The pathologic examination was consistent with granulocytic sarcoma. Three weeks after the biopsy, the patient had a relapse of acute myeloid leukemia. She died 2 months later while undergoing intensive therapy. Conclusions: This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iagnosis of granulocytic sarcoma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acute myeloid leukemia. J Korean Ophthalmol Soc 47(6):986-990, 2006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