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카나발린을 이용한 단기간 건성안 동물 모델 유용성 연구

목적 : Concanavalin A(conA)를 토끼 눈물샘에 주입하고, 이로 인한 눈물샘의 염증이 눈물분비, 각막 및 결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건성안 모델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토끼를 대상으로 한쪽 눈물샘에 conA를 두 번 주사한 후 눈물샘조직을 생검하여 염증 여부를 확인하고, 술 후 10일간 Schirmer test를 시행하여 주입 전 눈물분비량 대비 주입 후 눈물 분비량의 비로 측정하였으며, 주사 후 10일째 결막에서 압흔세포검사로 술잔세포의 수를 측정하고, TUNEL염색으로 상피세포의...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5), , pp.699-707
Hauptverfasser: 신기철, Ki Cheul Shin, 김형찬, Hyung Chan Kim, 고정화, Jung Hwa Ko, 위원량, Won Ryang Wee, 이진학, Jin Hak Lee, 김미금, Mee Kum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Concanavalin A(conA)를 토끼 눈물샘에 주입하고, 이로 인한 눈물샘의 염증이 눈물분비, 각막 및 결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건성안 모델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토끼를 대상으로 한쪽 눈물샘에 conA를 두 번 주사한 후 눈물샘조직을 생검하여 염증 여부를 확인하고, 술 후 10일간 Schirmer test를 시행하여 주입 전 눈물분비량 대비 주입 후 눈물 분비량의 비로 측정하였으며, 주사 후 10일째 결막에서 압흔세포검사로 술잔세포의 수를 측정하고, TUNEL염색으로 상피세포의 고사를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반대편 눈과 비교하였다. 결과 : 실험군에서 눈물샘조직의 염증세포의 침윤 및 정상 눈물샘의 파괴 양상이 술 후 10일째까지 관찰되었다. 눈물분비량의 비는 술 후 5일째부터 실험군(N=10) 0.56±0.26으로 대조군 1.07±0.35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2), 10일째까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ConA 주입 후 10일째에 결막의 술잔세포도 9.70±5.03개로 대조군의 47.50±17.13개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0). TUNEL염색 결과 실험군(26.20±4.27)에서 대조군(16.60±2.70)에 비해 많은 자살세포가 관찰되었다. 결론 : ConA를 눈물샘에 주입한 토끼는 눈물분비량이 감소되며, 건성안 환자에서 보이는 각결막상피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으므로 약 10일간의 단기간 건성안 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hort-term dry eye model in rabbits by injection of concanavalin A (conA) to the lacrimal and haderian gland of rabbits. Methods: We injected conA (10 mg/ml, 0.05 ml) to the lacrimal and haderian gland of rabbits twice to induce inflammation of lacrimal gland and compared with saline-injected control by lacrimal gland biopsy with H&E staining for identification of inflammation. The ratio of lacrimal secretion was evaluated by Schirmer test (preinjection vs. postinjection of conA) for 10 days and the number of goblet cells was counted in 10 consecutive high power field using impression cytology with PAS staining. The corneal & conjunctival apoptotic cell deaths were investigated with TUNEL staining 10 days after injection. Results: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destructed normal architecture of lacrimal gland was found only in conA injected group till 10 days. The Schirmer test showed marked reduction (0.56±0.26) by 5days after injection compared with control group (1.07±0.35) (p=0.02) and its significant difference was maintained till 10days. The number of goblet cell was 9.70±5.03/×200HPF,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47.50±17.13/×200HPF) at 10 days (p=0.00). Apoptotic cells were increased in injected eye (26.20±4.27)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16.60±2.70). Conclusions: Injection of conA to lacrimal glands in rabbit shows decrease of lacrimal secretion and similar cytological changes of the cornea and conjunctiva in human dry eye patients. It suggests its possible feasibility of short-term dry eye animal model for the 10 days. J Korean Ophthalmol Soc 48(5):699-707, 2007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