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소마취 하에 실시한 눈꺼풀올림근절제술 후 시간에 따른 눈꺼풀 높이 변화

목적: 국소마취 하에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시간에 따른 눈꺼풀 높이의 변화와 수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동일한 수술자에 의해 국소마취하에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시행 받은 242명의 환자에서 최소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고 사진으로 MRD1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했던 9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RD1의 값을 밀림자(calip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남자가 36명, 여자가 55명이었고, 나이는 12세에서 78세(평균 33.6세)...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10), , pp.1303-1311
Hauptverfasser: 김주엽, Ju Yeob Kim, 김윤덕, Yoon Duck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국소마취 하에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시간에 따른 눈꺼풀 높이의 변화와 수술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동일한 수술자에 의해 국소마취하에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시행 받은 242명의 환자에서 최소 3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고 사진으로 MRD1의 정확한 측정이 가능했던 9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MRD1의 값을 밀림자(calip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남자가 36명, 여자가 55명이었고, 나이는 12세에서 78세(평균 33.6세)이었으며, 단안 눈꺼풀처짐이 52명, 양안 눈꺼풀처짐이 39명이었다. 평균 8.7개월(3개월~58개월)의 추적 관찰 동안 86명(94.5%)의 환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눈꺼풀의 시간에 따른 평균 변화는 술 전, 술 중, 술 후 1주, 1달, 3달, 6달 그리고 1년에서 MRD1이 각각 0.8 mm, 3.9 mm, 3.0 mm, 2.7 mm, 2.5 mm, 2.4 mm 그리고 2.2 mm로 술 후 1달에 1.2 mm 감소하여 그 후 안정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눈꺼풀올림근 기능이 8이상인 경우 눈꺼풀 높이가 술 후 1주부터 조기에 안정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선천성 눈꺼풀처짐의 경우 눈꺼풀올림근 기능이 나쁠수록 더 많은 양의 교정이 필요하였다. 결론: 국소마취 하에 눈꺼풀올림근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술 중 눈꺼풀 높이를 1~2 mm 정도 과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눈꺼풀올림근 기능이 나쁜 경우는 더 많은 양의 교정을 통해 술 후 만족할 만한 눈꺼풀 높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yelid height changes during the postoperative period in patients who underwent levator resection under local anesthesia. Methods: Among the 242 patients that underwent levator resection under local anesthesia by the same surgeon between January on 1995 and December 2003, marginal reflex distance 1 (MRD1)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a caliper in 91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more than 3 months. Results: There were 36 males and 55 females, aged between 12 and 78 years (average of 33.6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of the patients was 8.7 months (3 months ~ 58 months). During this period, 86 patients (94.5%) experienced satisfactory results. The average change in the MRD1 of the eyelids preoperatively, during the operation, and 1 week, 1 month,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vely were 0.8 mm, 3.9 mm, 3.0 mm, 2.7 mm, 2.5 mm, 2.4 mm, and 2.2 mm, respectively. The MRD1 decreased 1.2 mm after 1 month and stabilized. When the levator function was greater than 8 mm, the height of the eyelids stabilized within 1 week. The worse the function of the levator palpebrae, such as in the case of congenital ptosis, the greater the correction was needed. Conclusions: Levator resection under local anesthesia is a preferable method i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yelids. In a patient with poor levator function, a greater amount of correction is needed to achieve a satisfactory eyelid height. J Korean Ophthalmol Soc 48(10):1303-1311, 2007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