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절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성적
목적 : 조절인공수정체인 AT-45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 성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24안(21명)을 대상으로 백내장 수술 후 조절인공수정체인 AT-45를 삽입하였으며, 6개월간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 동안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고, 합병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 황반원공이 발견된 1안, 원시변화가 발생한 1안을 제외한 22안(19명)을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의 최대교정시력은 22안(100%)에서 0.8이상, 19안(86.4%)에서 1.0이상이었다. 굴절이...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3), , pp.368-375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조절인공수정체인 AT-45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의 임상 성적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24안(21명)을 대상으로 백내장 수술 후 조절인공수정체인 AT-45를 삽입하였으며, 6개월간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추적관찰기간 동안 원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측정하였고, 합병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 황반원공이 발견된 1안, 원시변화가 발생한 1안을 제외한 22안(19명)을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의 최대교정시력은 22안(100%)에서 0.8이상, 19안(86.4%)에서 1.0이상이었다. 굴절이상 교정 후 측정한 근거리 시력은 21안(95.4%)에서 20/40이상, 7안(31.8%)에서 20/25이상이었다. 5안(22.7%)에서 수정체 후낭혼탁이 관찰되었고, 1안(4.5%)에서 홍채후유착이 나타났다. 결론 : AT-45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을 시행하였고, 6개월간의 추적관찰 결과 비교적 만족할 만 한 원거리, 근거리 시력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results of AT-45. Methods: In a prospective study, 24 eyes of 21 patients had phacoemulsification and AT-45 implantation. Clinical data included distance visual acuity, near visual acuity, complication, during the 6-months follow-up period. Results: Result analysis was performed with 22 eyes of 19 patients, except 2 complicated eyes. 6-months after operation, 22 eyes (100%) and 19 eyes (86.4%) were achieve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20/25 and 20/20 or better respectively. 21 eyes (95.4%) and 7 eyes (31.8%) were achieved best distance corrected near visual acuity 20/40 and 20/25 or better respectively. Posterior capsular opacity was developed in 5 eyes (22.7%) and posterior synechia was developed in 1 eye (4.5%). Conclusions: Clinical result of cataract surgery with AT-45 was relatively satisfactory. Long term follow-up is recommended. J Korean Ophthalmol Soc 48(3):368-375, 2007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