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 있어서 결절맥락막혈관병증의 역학과 임상소견
목적 : 한국인에 있어서 결절맥락막혈관병증(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의 빈도와 임상역학적 특징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2001년 6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환자 413명, 485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술에서 맥락막의 분지혈관망과 그 끝에서 결절성 확장을 보여 PCV로 진단된 환자는 66명, 80안(16.5%)이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8.3세였고, 남자가 80.3%였으며, 단안을 침범한 경...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1), , pp.63-74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한국인에 있어서 결절맥락막혈관병증(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의 빈도와 임상역학적 특징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2001년 6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삼출성 나이관련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은 환자 413명, 485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인도사이아닌그린혈관조영술에서 맥락막의 분지혈관망과 그 끝에서 결절성 확장을 보여 PCV로 진단된 환자는 66명, 80안(16.5%)이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8.3세였고, 남자가 80.3%였으며, 단안을 침범한 경우가 78.8%였다. 결절의 위치는 황반부가 62.5%로 가장 많았고, 결절의 양상은 포도송이 같은 군집형(60.0%)이 단독형(35.0%)보다 많았다. 67안(83.7%)에서 분지혈관망이 관찰되었으나, 13안(16.3%)에서는 분지혈관망이 관찰되지 않았다.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한 76안 중 53안에서 결절형 병변은 나이관련황반변성과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에 동반된 망막색소상피박리와 다르게 윗면이 다소 울퉁불퉁하고 옆면이 더 가파른 모양으로 보다 뾰족하게 앞으로 돌출된 양상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PCV의 빈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역학과 임상적인 특징은 서양에서의 보고와는 상이하였으나 중국, 일본의 보고와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의 자연경과에 대한 장기적인 선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demographic featur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in Korean patient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413 patients (485 eyes) diagnosed with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between June 2001 and September 2005. All patients underwent complete ophthalmologic examination, fluorescein and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Results: Among a total of 485 eyes of 413 patients, 80 eyes of 66 patients (16.5%) were diagnosed with PCV. Men were predominantly affected (80.3%), and most patients were elderly with a mean age of 68.3 years (range, 50~93 years) and unilaterally involved (78.8%). The polypoidal lesions in PCV tended to be located in the macula area (62.5%). With respect to vascular network, fine vascular networks were observed in 51 eyes (63.7%) and large lesions were present in 16 eyes (20.0%). Clusters of grape-like polypoidal lesions (60%) were more common than solitary aneurysmal dilations (35.0%). Branching choroidal vessels were present in 67 eyes (83.7%) and absent in 13 eyes (16.3%).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images of polypoidal lesions in 53 eyes showed uneven surfaces with more sharply peaked shapes different from those seen in the serous pigment epithelial detachment in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nd central serous chorioretinopathy. Conclusions: The incidence of PCV in Korean patients was relatively high among various ethnic groups. Although the demographic and clinical features of PCV in Korea differed from Caucasian patients, they were similar to Japanese and Chinese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48(1):63-74, 2007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