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된 간헐외사시로 재수술한 환자의 임상분석
목적 : 재발된 간헐외사시의 재수술 후 임상경과와 수술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재수술 후 3개월 이상 관찰이 가능했던 38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재수술 후 전방주시시 외편위가 10프리즘디옵터 이상일 때를 재발로 정의하였다. 관찰기간에 따른 재발률을 생존분석으로 알아보았고, 수술성적과 여러 인자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추적관찰기간은 평균 22.7±20.2개월(3~72개월)이었고, 시간이 흐를수록 재발률이 증가하였다. 재수술방법 중 단안 외직근후전 및 내직근절제술에 비해 단안 내...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2), , pp.321-327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재발된 간헐외사시의 재수술 후 임상경과와 수술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재수술 후 3개월 이상 관찰이 가능했던 38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재수술 후 전방주시시 외편위가 10프리즘디옵터 이상일 때를 재발로 정의하였다. 관찰기간에 따른 재발률을 생존분석으로 알아보았고, 수술성적과 여러 인자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추적관찰기간은 평균 22.7±20.2개월(3~72개월)이었고, 시간이 흐를수록 재발률이 증가하였다. 재수술방법 중 단안 외직근후전 및 내직근절제술에 비해 단안 내직근절제술의 재발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21). 1차 수술로 단안 외직근후전 및 내직근절제술 후 재수술로 외직근후전 및 내직근절제술을 한 경우와 외직근후전술만 한 경우의 재발위험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480), 1차 수술로 양안 외직근후전술 후 재수술로 양안 내직근절제술을 한 경우에 비해 단안 내직근절제술을 한 경우의 재발위험도가 높았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p=0.076). 결론 : 1차 수술로 단안 외직근후전 및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수술자의 기준에 따라 반대편 눈에 외직근후전 및 내직근절제술 또는 외직근후전술을 재수술방법으로 선택하고, 1차 수술로 양안 외직근후전술을 시행한 경우 재수술방법으로 단안보다는 양안 내직근절제술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course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nd surgical outcomes after reoperation for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Methods: Surgical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in 38 patients who had undergone reoperation at least 3 months after surgical correction. Recurrence was defined as an exodeviation of more than 10 prism diopters at the primary position. We investigated the recurrence rate according to the follow-up duration with survival analysi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and surgical outcome. Results: The mean survival period was 22.7±20.2 months (range, 3 to 72 months). As the follow-up duration increased, the recurrence rate progressively increased. The hazard ratio for recurrence of a un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as a reope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a un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medial rectus resection (recession and resection) (p=0.021). After using unilateral recession and resection as the primary surgery, the hazard ratio for recurrence of unilateral recession and resection as a reope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for un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p=0.480). After a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the hazard ratio for recurrence of un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for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p=0.076). Conclusions: The surgical options for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are contralateral recession and resection or contra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The procedure chosen depends on the operator`s preference after performing unilateral recession and resection as the primary surgery. After a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the hazard ratio for re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