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예상시력에 대한 망막시력계의 정확성 및 유의성

목적 : 백내장 수술 후 시력을 예측하는 검사로 이용되는 retinal acuity meter (RAM)의 정확성과 유의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본원에서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환자 43명 47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과 RAM을 이용한 시력을 측정하였고, 수술 후 3개월에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당뇨망막병증 유무와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 20/100를 기준으로 환자를 나누어 수술 후 시력 예측의 정확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백내장 종류, 황반질환 여부도 고려하였다. 결과 : 당뇨망막병증이 있는 11안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7), , pp.898-904
Hauptverfasser: 박정일, Jung Il Park, 오세훈, Sae Hoon Oh, 김진형, Jin Hyung Kim, 문상웅, Sang Woong Moon, 이도형, Do Hyung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백내장 수술 후 시력을 예측하는 검사로 이용되는 retinal acuity meter (RAM)의 정확성과 유의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본원에서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환자 43명 47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과 RAM을 이용한 시력을 측정하였고, 수술 후 3개월에 최대교정시력을 측정하였다. 당뇨망막병증 유무와 수술 전 최대교정시력 20/100를 기준으로 환자를 나누어 수술 후 시력 예측의 정확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백내장 종류, 황반질환 여부도 고려하였다. 결과 : 당뇨망막병증이 있는 11안에 대해 수술 후 시력이 Snellen 시력표상 3줄 이내로 예측한 경우는 90.9%로 비교적 정확히 예측 되었고, 당뇨망막병증이 없는 36안에 대해서도 91.6%로 예측력이 있었으며, 두군 모두 RAM 시력과 수술 후 최대 교정 시력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0.692, R2=0.812, p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