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광 레이저포인터에 의한 황반병증

목적 : 적색광 레이저포인터에 노출된 후 발생한 황반병증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12세 남자 환자가 내원 2개월 전 국내에서 시판되는 적색광 레이저포인터에 3 m 정도의 거리에서 우안이 10~20초 동안 수 차례 노출된 후 시작된 우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결과 : 내원 당시 나안시력은 우안 0.1, 좌안 0.9이었으며, 우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15이었다. 안저검사상 우안 황반부위에서 황색 변성이 관찰되었고, 형광안저혈관조영상 과형광된 창문비침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망막색소상피 결손을 의심할 수 있...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7), , pp.1007-1011
Hauptverfasser: 정원도, Won Do Jeong, 황영훈, Young Hoon Hwang, 김재석, Jae Suk Kim, 이주화, Joo Hwa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적색광 레이저포인터에 노출된 후 발생한 황반병증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12세 남자 환자가 내원 2개월 전 국내에서 시판되는 적색광 레이저포인터에 3 m 정도의 거리에서 우안이 10~20초 동안 수 차례 노출된 후 시작된 우안의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결과 : 내원 당시 나안시력은 우안 0.1, 좌안 0.9이었으며, 우안의 최대교정시력은 0.15이었다. 안저검사상 우안 황반부위에서 황색 변성이 관찰되었고, 형광안저혈관조영상 과형광된 창문비침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망막색소상피 결손을 의심할 수 있었으며, 빛간섭단층촬영상 광수용체와 망막색소상피의 경계가 모호해져 있었다. 망막전위도검사상에서는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았고, 시야검사에서는 환아의 협조가 잘 되지 않았지만, 전반적인 중심시야결손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적색광 레이저포인터를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망막손상, 특히 황반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하겠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maculopathy following exposure to a red laser pointer beam. Patient and Methods: A 12-year-old boy visited our clinic due to decreased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after 2 months after exposure to a red laser pointer beam for 10 to 20 seconds at a distance of 3 m. Results: Uncorrected visual acuity was 0.1 and 0.9 in the right and left eyes, respectively.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of the right eye was 0.15. Upon funduscopic examination, a yellowish degeneration was observed in the macular area. Fluorescence angiography showed hyperfluorescent window defect that may have been a retinal pigment epithelial defect related to laser pointer exposure. There were no specific findings in electroretinogram,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photoreceptor and retinal pigment epithelium was ambiguous as determin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 Humphrey automated visual field test revealed generalized central field defect, although his cooperation was not sufficient. Conclusions: Red laser pointer should be used carefully, as their misuse can result in retinal damage, especially in inadequately used macula. J Korean Ophthalmol Soc 48(7):1007-1011, 2007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