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제거술에 이르게 되는 각막궤양들의 위험인자 분석
목적 : 각막궤양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를 하였으나 안구제거술을 시행하게 된 위험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각막궤양으로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았으나 안구제거술을 시행 받게 된 30명(30안)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6±12.2세였으며, 60~79세의 환자가 20명(66.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남자는 14명, 여자는 16명이었다. 결과 : 각막궤양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원인 미상이 13안(43.3%)으로 가장 많았고, 외상이 10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1), , pp.34-3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각막궤양 환자에서 적절한 치료를 하였으나 안구제거술을 시행하게 된 위험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 1990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각막궤양으로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았으나 안구제거술을 시행 받게 된 30명(30안)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1.6±12.2세였으며, 60~79세의 환자가 20명(66.7%)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남자는 14명, 여자는 16명이었다. 결과 : 각막궤양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원인 미상이 13안(43.3%)으로 가장 많았고, 외상이 10안(33.3%), 수포각막병증이 3안(10.0%) 그리고 각막이식술 후, 익상편수술 후, Mooren`s ulcer, 벌에 쏘인 경우가 각각 1안(3.3%)씩 있었다. 안구제거술 당시의 시력은 광각(-)가 14안(46.7%), 광각(+)가 4안(13.3%), 안전수동이 12안(40.0%)이었다. 배양 결과에서는 30안중 7안(23.3%)에서 양성결과가 나왔으며, 이중에는 진균에 의한 것이 4안(13.3%), 세균에 의한 것이 3안(10.0%)이었다. 안구제거술의 직접적인 이유로는 13안(43.4%)에서 천공, 8안(26.7%)에서 통증, 7안(23.3%)에서 안구 천공 임박, 안구위축과 안내염이 각각 1안(3.3%)에서 있었다. 결론 : 고령의 환자, 안구표면질환 및 기타 안질환이 원인이 된 경우, 진균에 의해 발생한 각막궤양의 경우들이 안구제거술에 이르는 위험인자로 생각되므로 이런 경우의 환자들에서는 치료 시 주의를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of corneal ulcers that require eyeball removal even when properly manage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30 patients (30 eyes) who were diagnosed with corneal ulcers and underwent eyeball removal, even though their cases were properly managed, between 1990 and July, 2005. The Patients included of 14 males and 16 female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61.6±12.2. The ages of 20 patients were between 60 and 79. Results: Unknown (13/30 [43.4%]) wa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predisposing factor. The other predisposing gactors were ocular trauma (10/30 [33.3%]); bullous keratopathy (3/30 [10%]); keratoplasty (1/30 [3.3%]); pterygium excision (1/30 [3.3%]); history of Mooren`s ulcer (1/30 [3.3%]); and bee sting (1/30 [3.3%]). The visual acuity at the time of evisceration was LP(-) (14/30 [46.7%]); LP(+)(4/30 [13.3%]); and hand motion (12/30 [40%]). Organisms were cultured in 7 patient (23.3%). Among these patients, funguses were cultured in 4 patients, and bacteria were cultured in 3 patients. The most common causes of evisceration were perforation (13/30 [43.3%]); pain (7/30 [23.3%]); impending perforation (7/30 [23.3%]); phthisis bulbi (1/30 [3.3%]); and endophthalmitis (1/30 [3.3%]).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old age, ocular surface and other ocular disease and the corneal ulcer caused by fungi are the risk factor that can lead to a condition that requires removal of the eyeball. Consequently, we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patients who have these risk factors. J Korean Ophthalmol Soc 49(1):34-39, 2008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