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 상사근마비의 수직편위각에 따른 하사근 수술의 효과
목적 : 선천 상사근마비에서 수술 전 수직 편위각에 따른 하사근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5월에서 2004년 4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단안의 선천 상사근마비로 진단받은 환자 중 양 측방 주시시 비일치성으로 반대편 상방주시시 가장 큰 수직사시를 보이는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일안위에서의 사시각이 20 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 PD)미만인 경우를 1군(18명), 제일안위에서 20 PD이상의 사시각을 보이는 경우는 2군(10명)으로 분류하여 수술 효과를 비교하였다. 1군과 2군 모두에서 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4), , pp.541-546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선천 상사근마비에서 수술 전 수직 편위각에 따른 하사근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3년 5월에서 2004년 4월까지 본원 안과에서 단안의 선천 상사근마비로 진단받은 환자 중 양 측방 주시시 비일치성으로 반대편 상방주시시 가장 큰 수직사시를 보이는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일안위에서의 사시각이 20 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 PD)미만인 경우를 1군(18명), 제일안위에서 20 PD이상의 사시각을 보이는 경우는 2군(10명)으로 분류하여 수술 효과를 비교하였다. 1군과 2군 모두에서 하사근에 대한 수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3개월 후 검사소견을 토대로 하여 하사근 수술에 대한 효과를 판정하였고 필요한 경우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수술 후 각 군의 제일안위에서 사시각의 평균 교정양은 1군에서 11.63±2.72 PD, 2군에서 7.40±3.51 PD로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수술 전에 비하여 수술 후의 편위각이 감소하였으나 하사근 수술의 교정량은 두 군에서 차이를 보였다. 수술 3개월 후 성공률은 1군은 100% 성공을 보였고, 2군에서는 100% 실패를 보여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결론 : 비일치성 수직사시를 보이는 선천 상사근마비에서 제일안위에서 수직 사시각이 20 PD이상인 경우 하사근수술에 의한 교정량이 적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사근과 직근에 대하여 동시에 수술을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 고려해야 할 점이라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results of inferior oblique muscle operation in congenital superior oblique palsy (CSOP) according to the preoperative vertical deviation. Methods: This stud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2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SOP with the largest vertical deviation at adducted position and incomitant vertical strabismus from May 2003 to April 2004 at hospita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group 1 (18 patients) shows less than 20 prism diopter (PD) vertical deviation at the primary position, the group 2 (10 patients) shows no less than 20 PD vertical deviation at the primary position preoperatively. We performed operation of the inferior oblique muscle (IOM) for both group. We evaluated the surgical effect at the primary position and both lateral gaze after 3 months. and performed reoperation as needed. Results: Mean correction amount of vertical deviation at primary position of two groups were 11.6±2.7 PD in the group 1 and 7.4±3.5 PD in the group 2. Postoperative vertical deviation was decreased compared to preoperative value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rrected amount after inferior oblique muscle operation between two groups at all gazes. Surgical result of group 1 was successful (100%), but in group 2, all failed (100%) and needed reoperation.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corrected amount with IOM operation was smaller in CSOP with no less than 20 PD vertical deviation at primary position and incomitant vertical strabismus. It ma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operation for rectus and oblique musle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in CSOP. J Korean Ophthalmol Soc 48(4):541-546, 2007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