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장년 안검열의 형태학적 분석과 상안검거근의 기능 고찰

목적 및 방법 : 저자들은 2000년 4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에 실습 나온 의대생들과 간호사, 간호 조무사 및 직원들 중 안과적 질환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총 480안을 성별로 분류하여 안검열의 형태학적 계측을 시행하였으며 상안검거근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안검열의 높이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8.33 mm, 좌안이 8.43 mm였고, 여자는 우안이 9.05 mm,좌안이 9.14 mm였다. 내안각간의 거리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36.96 mm였고, 여자는 36.52 mm였다. 안검열의 길이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27...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1, 42(11), , pp.1523-1529
Hauptverfasser: 송원석, Won Seok Song, 이석준, Seok Joon Lee, 김윤희, Yoon Hee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및 방법 : 저자들은 2000년 4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에 실습 나온 의대생들과 간호사, 간호 조무사 및 직원들 중 안과적 질환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총 480안을 성별로 분류하여 안검열의 형태학적 계측을 시행하였으며 상안검거근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안검열의 높이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8.33 mm, 좌안이 8.43 mm였고, 여자는 우안이 9.05 mm,좌안이 9.14 mm였다. 내안각간의 거리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36.96 mm였고, 여자는 36.52 mm였다. 안검열의 길이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27.43 mm, 좌안이 27.66 mm였고, 여자는 우안이 27.82 mm, 좌안이 27.87 mm였다. 외안각의 외상방 편위도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4.17˚, 좌안이 4.14 ˚였고, 여자의 경우 우안이 5.01˚, 좌안이 5.02˚였다. 내안각췌피는 남자의 15.0%에서, 여자의 10.0%에서 발견되었고 가장 흔한 형태는 epicanthus tarsalis(93.3%)였다. 쌍꺼풀은 전체의 24.2%에서 존재하였는데 남자에서는 16.7%였으며, 여자에서는 31.7%였다. 상안검거근의 기능은 Berke씨 방법에 의해 측정된 계측치로 하였고 남자의 경우 우안이 13.46 mm,좌안이 13.43 mm였으며, 여자는 우안이 13.74 mm, 좌안이 13.67 mm였다. MRD1은 남자의 경우 우안이 2.39 mm, 좌안이 2.42 mm였고, 여자의 경우 우안이 2.70 mm, 좌안이 2.65 mm였다. MLD는 남자의 경우 우안이 5.89 mm, 좌안이 6.08 mm였고, 여자의 경우 우안이 4.99 mm, 좌안이 5.01 mm였다. 결론 : 이상의 계측치들과 기능 평가를 기존 문헌들과 비교하여 본 결과 서양인의 안검열형태 및 상안검 거근 기능의 계측치와 비슷한 항목도 있으나 MRD1의 경우 분명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위의 결과들은 한국인의 상안검에 대한 표준 계측값을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Method : The authors analyzed the morphology of upper eyelid of 480 normal eyes of medical college students, nurses, and officers in our hospital. Result : The height of eyelid fissure was 8.33 mm in right eye, 8.43 mm in left eye in men and 9.05 mm in right eye, 9.14 mm in left eye in women. Intercanthal distance was 36.96 mm in men and 36.52 mm in women. The length of palpebral fissure was 27.43 mm in right eye, 27.66 mm in left eye in men and 27.82mm in right eye, 27.87 mm in left eye in women. The epicanthal fold was found in 15.0% of men and in 10.0% of women. Most frequent type of epicanthal fold was epicanthus tarsalis. The upper eyelid crease was found in 24.2% of total participants, and 16.7% in men and 31.7% in women. The levator function according to Berke`s method was 13.46 mm in right eye, 13.43 mm in left eye in men and 13.74 mm in right eye, 13.67 mm in left eye in women. MRD1 was 2.39 mm in right eye, 2.42 mm in left eye in men and 2.70 mm in right eye, 2.65 mm in left eye in women. The MLD as similar values in the evaluation of levator function was 5.89 mm in right eye, 6.08 mm in left eye in men and 4.99 mm in right eye, 5.01 mm in left eye in women.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could conclude that morphological values of eyelid and levator function were measured similarly to those in western people although values such as MRD1 was noted different. We suggest that our data were helpful to decision of the standard values of Kore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