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 절개 및 고전적 백내장 수술에서의 수술 유발 난시 및 각막 고위 수차 비교
목적: 미세 절개 백내장 수술과 고전적 백내장 수술에서 발생되는 수술 유발 난시 및 각막 고위 수차의 변화량을 비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2 mm 절개창의 미세 절개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군(1군, 30안)과 2.8 mm 절개창의 고식적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군(2군, 30안)에서 각각 술 전, 술 후 1달, 3달째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수술 유발 난시, 각막고위 수차를 측정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수술 유발 난시의 경우 두군 모두에서 통...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10), , pp.1597-1602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미세 절개 백내장 수술과 고전적 백내장 수술에서 발생되는 수술 유발 난시 및 각막 고위 수차의 변화량을 비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2 mm 절개창의 미세 절개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군(1군, 30안)과 2.8 mm 절개창의 고식적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군(2군, 30안)에서 각각 술 전, 술 후 1달, 3달째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수술 유발 난시, 각막고위 수차를 측정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술 전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수술 유발 난시의 경우 두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각막 고위 수차의 비교에서도 1군과 2군에서 각각 술 전과 술 후 1개월, 3개월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군간 비교에서도 술 전과 술 후 1개월, 3개월에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미세 절개 백내장 수술은 수술 유발 난시와 각막 고위 수차의 변화에서 고식적 백내장 수술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compare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and some corneal higher order aberrations in patients who underwent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MCCS) or conventional cataract surgery.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included 60 eyes of 55 patients. Thirty eyes received MCCS using a 2.2mm clear corneal incision (group 1), and 30 eyes received conventional cataract surgery using a 2.8 mm clear corneal incision (group 2). SIA and corneal higher order aberrations were measured with a Keratometer (Humphrey, Zeiss) and i-Trace (Tracey Technologies) preoperatively, and at 1 and 3 months after cataract surgery. SIA was analyzed vectorially using the Alpins metho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operative UCVA or BCVA between the two groups. At 1 month and 3 months after surgery, SIA in group 1 was less than that in group 2,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operative change of corneal higher order aberrations in each group at 1 month or 3 months after surger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neal higher order aberr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preoperatively, at 1 month, or 3 months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A and corneal higher order aberr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0):1597-1602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