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피바카인(Bupivacaine)과 리신 단클론항체 35 (Ricin mAb 35) 주사에 의한 가토 외안근 근독성 변화에 대한 조직학적 분석
목적 : 부피바카인(bupivacaine)과 리신(Ricin) 단클론 항체35에 의한 가토의 외안근의 급성 조직학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백색 가토의 상,하직근에 부피바카인(0.4 mg in 0.3 ml) 또는 리신 단클론 항체 35 (0.2 μg/kg in 0.3 ml)를 주사한 후 1, 2, 4주에 가토의 상직근과 하직근을 적출하여 근육층의 변화를 조직학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외안근의 안와층과 안구층에서 각각 50개의 근섬유를 무작위 추출하여 직경을 측정하였다. 결과 : 부피바카인과 리신 단클론 항체 35는 안구층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4, 45(8), , pp.22-22 |
---|---|
Hauptverfasser: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부피바카인(bupivacaine)과 리신(Ricin) 단클론 항체35에 의한 가토의 외안근의 급성 조직학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 백색 가토의 상,하직근에 부피바카인(0.4 mg in 0.3 ml) 또는 리신 단클론 항체 35 (0.2 μg/kg in 0.3 ml)를 주사한 후 1, 2, 4주에 가토의 상직근과 하직근을 적출하여 근육층의 변화를 조직학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외안근의 안와층과 안구층에서 각각 50개의 근섬유를 무작위 추출하여 직경을 측정하였다.
결과 : 부피바카인과 리신 단클론 항체 35는 안구층과 안와층에서 모두 근독성을 유발하였다. 부피바카인에 의한 변화는 주사 부위에 국한된 반면, 리신 단클론 항체 35는 심한 염증 소견과 동반된 광범위한 근독성을 초래하였다. 근섬유 재생은 두 약제 모두에서 주사 후 1주에 관찰되었고, 염증 반응은 2주 이내에 상당히 소실되었다. 주사 후 4주에는 현저한 근섬유 재생과 함께 급성 변화가 대부분 회복되는 소견을 보였다. 근섬유 직경의 변화와 재생근섬유의 관찰 결과 부피바카인은 안구층에, 리신 단클론 항체 35는 안와층에 더 큰 변화를 유발하였다.
결론 : 부피바카인과 리신 단클론 항체 35에 의한 외안근 급성 손상은 각 근육층에 독특한 특징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향후 이들 약제의 임상적 적용을 위해 근육의 기능에 대한 평가 및 적절한 사용 농도와 용량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o analyze the acute histologic change of extraocular muscles (EOM) induced by injection of bupivacaine or Ricin mAb 35.
Methods: The superior rectus and inferior rectus of white rabbits were injected with either bupivacaine (0.4 mg in 0.3ml) or Ricin mAb 35 (0.2 μg/kg in 0.3 ml). One, two, and four weeks after injection, the rectus muscles were harvested and the post-injection changes were histologically analyzed.
Results: Both the orbital and the global layers of EOM showed myotoxic changes induced by bupivacaine and Ricin mAb 35. However, the inflammation and destruction of myofiber by bupivacaine injection were localized to the injection site, whereas changes induced by Ricin mAb 35 were diffuse. Regenerating myofibers with a central nucleus were found at one week after myotoxin injection. Four weeks after injection, the acute changes induced by these two toxins were much recovered with prominent myofiber regeneration. Bupivacaine-induced myotoxic change was more prominent in the global layer in contrast to the more prominent damage in the orbital layer induced by Ricin mAb 35.
Conclusions: We found that EOM have a superb ability to recover from the acute injury induced by bupivacaine or Ricin mAb 35 and that the two myotoxins cause unique damage including the predilection of muscle layers and the duration for which the damage persisted. Further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al change during recovery from the myotoxin-induced injury of EOM is need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