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무홍채증과 동반된 무수정체안에서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 삽입에 대한 장기 임상경험

목적: 외상에 의한 무홍채증과 무수정체안이 동반된 환자에서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를 공막고정 삽입술 시행 후 장기간 임상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공막고정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 받은 무홍채증 환자 중 50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6명 중 6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여 임상경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평균 7년 8개월(50~115개월)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6안 중 수술 후 최고시력은 스넬렌 시력표 2줄 이상 상승한 군이 3안이었고, 저하군은 없었다.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 삽입 후 발생한...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2), , pp.238-241
Hauptverfasser: 이정주, Jung Joo Lee, 이상준, Sang Joon Lee, 김신동, Shin Dong Kim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외상에 의한 무홍채증과 무수정체안이 동반된 환자에서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를 공막고정 삽입술 시행 후 장기간 임상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공막고정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 받은 무홍채증 환자 중 50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6명 중 6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여 임상경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평균 7년 8개월(50~115개월)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6안 중 수술 후 최고시력은 스넬렌 시력표 2줄 이상 상승한 군이 3안이었고, 저하군은 없었다.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 삽입 후 발생한 초기합병증으로 낭포황반부종, 일시적 안압상승이 관찰되었다. 후기합병증으로 수포성각막병증이 4안, 녹내장이 3안, 외사시 3안에서 발생하였다. 수포성각막병증이 발생한 4안 중 2안에서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하였고 녹내장이 발생한 3안중 2안에서 Ahmed valve 삽입술을 시행하였다. 합병증 발생 후 마지막 경과관찰 시력은 술전 교정시력에 비하여 0.1 이상이 2안, 0.1 이하가 4안으로 모두 저하되어 있었다. 결론: 평균 7년 8개월 경과관찰 한 결과 수포성각막병증, 녹내장 등 심각한 후기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외상성 무홍채증 환자에서 흑색횡격막 인공수정체를 사용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is a report on the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ho had received black diaphragm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fter traumatic aniridia.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long-term follow-up for more than 50 months of six patients who had received black diaphragm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after traumatic aniridia. Results: An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of more than two letters, according to the Snellan chart, occurred in three out of six eyes that were available for follow-up studies after an average period of 7 years and 8 months (50-115 months) after the operation, and no visual acuity decline groups were present. Early complications of black diaphragm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consisted of cystoid macular edema and transient intraocular pressure rise. The complications late occurred included bullous keratopathy in four eyes, glaucoma in three eyes, and exotropia in three eyes. We performed penetrating keratoplasty in two of the four eyes suffering from bullous keratopathy, and an Ahmed valve implantation in two of the three eyes suffering from glaucoma. There were signs of reduced visual acuity in four eyes due to complications of the surgery. Conclusions: The authors of this report recommend care in use of black diaphragm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by studies done with an average follow-up period of 7 years and 8 months post operatively. Also reported were severe complications with this treatment such as bullous keratopathy and glaucoma. J Korean Ophthalmol Soc 49(2):238-244, 200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