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 코눈물관막힘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의 장기효과

목적: 성인의 불완전 코눈물관막힘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은 현재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장기간 경과관찰을 통한 성공률에 대해서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눈물흘림을 주소로 내원하여 불완전 코눈물관막힘 진단 하에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 받은 109안 중 6개월 이상 장기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45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추적 기간은 30.4개월(6~76개월)이었으며, 평균 6.5개월(1~18개월)에 실리콘관을 제거하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2), , pp.190-194
Hauptverfasser: 권용혁, Yong Hyuk Kwon, 이용재, Yong Jae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성인의 불완전 코눈물관막힘에서 실리콘관 삽입술은 현재 널리 시행되고 있으나, 장기간 경과관찰을 통한 성공률에 대해서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눈물흘림을 주소로 내원하여 불완전 코눈물관막힘 진단 하에 실리콘관 삽입술을 시행 받은 109안 중 6개월 이상 장기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45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추적 기간은 30.4개월(6~76개월)이었으며, 평균 6.5개월(1~18개월)에 실리콘관을 제거하였다. 눈물흘림 증상의 호전이 있으면서 생리식염수 관류검사상 생리식염수가 통과되는 경우를 수술적 성공으로 정의 하였을 때 수술 성공률은 수술 후 6개월에 77.7%, 1년에 75%, 3년 이후에는 51.6%였다. 결론: 실리콘관 삽입술은 시술이 간단하고 환자에게 비용효율적인 면에서 좋은 수술이긴 하나 수술 후 경과 관찰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발률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long-term follow-up of silicone tube intubation in patients with acquired nasolacrimal duct obstruction (NLDO) that is incomplete.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outcomes of silicone intubation performed between 1998 and 2003. During that period, we performed silicone intubation on 109 eyes, but only 45 eyes that completed at least 6 months of follow-up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0.4 months (6~76 months), and silicone tubes remained in place an average of 6.5 months (1~18months). The success rate, which is defined as the improvement of epiphora symptoms with patent nasolacrimal irrigation. Conclusions: Silicone tube intubation is a simple, cost-effective, and beneficial treatment for patients, but the recurrence rate increases over time, especially several years after the oper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49(2):190-194, 200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