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니픽 망막에서 개시형 콜린성 아마크린세포에 연접하는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신경절 세포
목적: 기니픽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는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전위 아마크린세포의 특성을 조직면역학화학요법 및 전자 현미경 소견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4마리 기니픽의 망막표본을 칼레티닌에 대한 마우스 단일클론성 항체와 배양한 뒤 관찰하였다. 이중 표지 면역조직화학요법을 위해 칼레티닌에 대한 마우스 단일클론성 항체, 토끼 다클론성 항체와 함께 콜린아세틸트랜스퍼라제에 대한 염소 다클론성 항체, GABA에 대한 토끼 다클론성 항체, GABAA수용체 α1, β2/3 아형에 대한 마우스 단일클론성 항체와 혼합배양한 후 동...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2), , pp.340-351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기니픽 망막의 신경절세포층에 존재하는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전위 아마크린세포의 특성을 조직면역학화학요법 및 전자 현미경 소견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4마리 기니픽의 망막표본을 칼레티닌에 대한 마우스 단일클론성 항체와 배양한 뒤 관찰하였다. 이중 표지 면역조직화학요법을 위해 칼레티닌에 대한 마우스 단일클론성 항체, 토끼 다클론성 항체와 함께 콜린아세틸트랜스퍼라제에 대한 염소 다클론성 항체, GABA에 대한 토끼 다클론성 항체, GABAA수용체 α1, β2/3 아형에 대한 마우스 단일클론성 항체와 혼합배양한 후 동초점의 주사형 현미경과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마리 기니픽 망막은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세포는 신경절세포층의 신경절세포, 전위 아마크린세포, 속핵층의 다른 아마크린세포이다.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전위 아마크린세포는 개시형 콜린성 세포로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신경절세포에 연접하며 GABA를 가지며 신경절세포의 수상돌기에는 GABAA수용체 β2/3 아형이 있다. 결론: 본 실험결과는 기니픽 망막에서 개시형 콜린성 아마크린세포가 GABAA 수용체 β2/3아형을 통해 칼레티닌 면역반응성 신경절세포를 조절함을 제시해주는 형태학적 근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zation calretinin-immunoreactive displaced amacrine cells in the ganglion cell layer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Methods: For immunohistochemistry, sections from guinea pig retina were incubated with mouse monoclonal antibody directed against calretinin. For double label studies, sections were incuated in mixture of mouse monoclonal anti-calretinin or rabbit polyclonal anti-calretinin with following antibodies: goat polyclonal anti-ChAT, rabbit polyclonal anti-GABA, mouse monoclonal anti-GABAA receptor α1, β2/3. Sections were analyzed using Bio-rad Radiance Plus confocal scanning microscope. Stained sections from three guinea pig were observ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Results: Calretinin immunoreactivity was present in displaced amacrine cells and ganglion cells gaving rise to processes ramified in the inner part of the inner plexiform layer in stratum 4. The same stratum was also occupied by the dendrites of ON-cholinergic amacrine cells. Double-labeling demonstrated that dendrites and cell bodies of displaced amacrine cells colocalized with ON-cholinergic amacrine cells and dendrites of ganglion cells directly overlapped with dendrites of ON-cholinergic amacrine cells. The synaptic connectivity was identified by electron microscopy. Ganglion cell dendrites received synaptic input from ON-cholinergic amacrine cell. GABAA receptor β2/3 subunit bands cofaciculates the dendrites of displaced amacrine cell and ganglion cell that are juxtapose to the α1 subunit of GABAA receptor.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N-cholinergic amacrine cells modulate calretinin-labeled ganglion cell via GABAA receptor β2/3 in the guinea pig retina. J Korean Ophthalmol Soc 49(2):340-351, 2008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