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절제술 중 발생한 발살바현상 관련 맥락막상강출혈
목적: 전신마취하 유리체절제술 도중 발살바현상에 의해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의 처치과정, 회복 후 안저 및 형광안저조영술 소견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안저에 별다른 이상이 없던 26세 남자가 우안의 단순열공망막박리로 전신마취하 유리체절제술을 받았다. 액체공기교환 상태에서 공막누르기와 눈속레이저를 하는 도중, 옅어진 전신마취로 인해 환자가 기도내 삽관상태에서 급작스럽고, 심한 기침발작을 하였다. 바로 직후 맥락막상강출혈이 생겨 나면서, 후극부를 제외한 범안저부위가 전방으로 편위되었다. 즉각적인 안압상승을 통한 지혈과 과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6), , pp.1022-1027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전신마취하 유리체절제술 도중 발살바현상에 의해 발생한 맥락막상강출혈의 처치과정, 회복 후 안저 및 형광안저조영술 소견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안저에 별다른 이상이 없던 26세 남자가 우안의 단순열공망막박리로 전신마취하 유리체절제술을 받았다. 액체공기교환 상태에서 공막누르기와 눈속레이저를 하는 도중, 옅어진 전신마취로 인해 환자가 기도내 삽관상태에서 급작스럽고, 심한 기침발작을 하였다. 바로 직후 맥락막상강출혈이 생겨 나면서, 후극부를 제외한 범안저부위가 전방으로 편위되었다. 즉각적인 안압상승을 통한 지혈과 과불화탄소액의 주입으로 맥락막상강출혈을 배출하고 맥락막과 망막을 재유착시켰다. 술 후 우안 교정시력은 0.4이며 황반의 이측부에 혈관궁보다 큰 초승달 모양의 비교적 가느다란 맥락막파열이 있었으며, 맥락막파열선의 방향은 외상성 맥락막파열과 달리 시신경유두에 원심성으로 나타났다. 형광안저조영술상 맥락막파열부위의 형광염색이 관찰되었으며, 형광누출은 없었다. 결론: 유리체절제술에서 옅어진 전신마취로 유발된 발살바현상에 의한 급성맥락막상강출혈의 기전을 이해할 수 있는 안저 및 형광안저조영술 소견을 보고하며, 이는 임상적으로 주목할 만하다.
Purpose: To report a suprachoroidal hemorrhage by Valsalva maneuver during vit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Case summary: A healthy 26-year-old man had vitrec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due to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in his right eye. During scleral indentation and endolaser photocoagulation, he took a sudden and severe bucking reflex because the effect of general anesthesia was insufficient. After the bucking reflex, suprachoroidal hemorrhage occurred in his right eye. Immediate IOP elevation and hyperfluorocarbon tamponade was performed to remove the suprachoroidal hemorrhage and reattach the retina and choroid. The patient`s corrected visual acuity was 20/50 and slender crescent shaped choroidal rupture remained around the temporal area of the macula, unlike traumatic choroidal rupture. Following fluorescein angiography, staining was evident at the choroidal rupture site; no fluorescein leakage was evident. Conclusions: We report a case of acute suprachoroidal hemorrhage which we investigated by fundus examination and fluorescein angiography. J Korean Ophthalmol Soc 49(6):1022-1027, 2008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