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백혈구 항원-B27 연관 앞포도막염 환자의 방수 내 키모카인 및 키모카인 수용체 분석

목적: 재발성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HLA-B27 항원 유무에 따라 방수 내 키모카인 농도와 키모카인 수용체의 발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의 말초혈액 및 방수를 채취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수용체(CXCR1, CXCR3, CCR5)의 발현과 IL-8, IP-10과 RANTES의 농도를 측정하고 특발성 앞포도막염과 비교하였다. 결과: 17명의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 14명의 특발성 앞포도막염 환자와 정상 대조군 5명이 포함되었다. 방수의 IL-8과 I...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9), , pp.1475-1482
Hauptverfasser: 김태완, Tae Wan Kim, 정흠, Hum Chung, 유형곤, Hyeong Gon Yu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재발성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HLA-B27 항원 유무에 따라 방수 내 키모카인 농도와 키모카인 수용체의 발현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으로 진단 받은 환자의 말초혈액 및 방수를 채취하였다. 유세포 분석을 이용하여 수용체(CXCR1, CXCR3, CCR5)의 발현과 IL-8, IP-10과 RANTES의 농도를 측정하고 특발성 앞포도막염과 비교하였다. 결과: 17명의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 14명의 특발성 앞포도막염 환자와 정상 대조군 5명이 포함되었다. 방수의 IL-8과 IP-10의 농도가 말초혈액에 비해 증가하였고, HLA-B27 연관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특발성 앞포도막염 환자보다 증가하였다. 한편, 방수 내 RANTES 농도는 말초혈액에 비해 감소되었으나,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두 군 모두 방수에서 키모카인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두 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키모카인이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재발성 앞포도막염 환자에서 키모카인 환경이 HLA-B27 항원 유무에 따라서 다를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chemokine and chemokine receptors in the aqueous humor (AH) of patients with recurrent anterior uveitis (AU) in terms of HLA-B-27-association. Methods: Patients with endogenous uveitis were recruited from the uveitis clin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H and peripheral blood (PB) were obtained from each patient. The expression of chemokine receptors in T-cells from AH and PB was measured using flow cytometric analysis. Interleukin (IL)-8, interferon-γinducible protein (IP)-10, and regulated-on-expression, normal T-cell expressed and secreted (RANTES) levels of PB and AH were measured. The expression of chemokine receptor and chemokine levels in PB and AH were compared between HLA-B27-associated AU and idiopathic AU patients. Results: Seventeen patients with HLA-B27-associated AU, 14 patients with idiopathic AU and 5 healthy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IL-8 and IP-10 levels of AH were shown to be increased more than in PB, and intraocular concentrations of IL-8 and IP-10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HLA-B27-associated AU than in idiopathic AU patients. RANTES levels in A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PB for all groups. In all groups, the expression of chemokine receptor in AH increased more than in PB.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chemokin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AU. This implies that the chemokine environment may be different in terms of HLA-B-27-associ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9):1475-148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