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와 골절 환자에서 안와 용적 측정을 통한 생체 흡수성 코폴리머 고정판의 초기 재건효과 분석
목적: 안와 골절 환자의 안와 재건술시 생체 흡수성 코폴리머 고정판인 MacroPore(R)를 이용한 환자에서, 안와 전산화 단층촬영(CT)을 이용한 안와 용적 측정을 통해 MacroPore(R)의 초기 재건효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안와 골절 환자중 3 cm×2 cm 크기 이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MacroPore(R)를 사용하여 안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째 안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고, Rapidia 2.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째 안와 용적을 측정함으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7), , pp.1046-1053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안와 골절 환자의 안와 재건술시 생체 흡수성 코폴리머 고정판인 MacroPore(R)를 이용한 환자에서, 안와 전산화 단층촬영(CT)을 이용한 안와 용적 측정을 통해 MacroPore(R)의 초기 재건효과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안와 골절 환자중 3 cm×2 cm 크기 이하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MacroPore(R)를 사용하여 안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째 안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고, Rapidia 2.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째 안와 용적을 측정함으로써, MacroPore(R)의 안와 재건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전 골절측의 평균 안와 용적은 20.23±2.78 cm3, 비골절측은 18.27±2.24 cm3 (p-value=0.000)였고, 수술 후 골절측의 평균 안와 용적은 19.06±2.57 cm3, 비골절측은 18.06±2.24 cm3 (p-value=0.000)였다. 수술 전 평균 안구함몰은 1.00±0.62 mm, 수술 후 평균 안구함몰은 0.64±0.46 mm였다. 수술 전 골절측과 비골절측의 평균 안와 용적 차이는 1.96±0.33 cm3, 수술 후는 1.00±0.87 cm3였다(p-value=0.000). 골절측의 평균 안와 용적은 수술 전 20.23±2.77 cm3였고, 수술 후 19.06±2.57 cm3였다(p-value=0.000). 안와 용적 1 cm3 감소시, 안구 함몰은 평균 0.67±0.68 mm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수술 전 및 수술 후 안와 용적의 측정을 통해 3 cm×2 cm 이하로 안와 골절의 크기가 작은 경우의 안와 재건술시 MacroPore(R)는 안전한 안와 충전물이고, 수술 후 초기에는 안와 용적을 감소시킨다고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arly effect of orbital reconstruction with MacroPore(R) by assessment of orbital volume through orbital computed tomography (CT) in cases of orbital wall fracture Methods: We performed orbital reconstruction with MacroPore(R) in patients with orbital wall fracture smaller than 3 cm×2 cm. Orbital CT was done preoperatively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We then evaluated the results by measuring the orbital volume through Rapidia 2.8 program. Results: The study comprised 14 patients. The site of fracture was the medial wall in one patient, inferior in seven, and both medial and inferior in six patients. The site of insertion of MacroPore(R) was the medial wall in one patient, inferior in 12, and both medial and inferior walls in one. The mean volume of the affected orbit before operation was 20.23±2.78 cm3, that of the unaffected orbit was 18.27±2.24 cm3 (p- value=0.000), and the mean volume of the affected orbit after operation was 19.06±2.57 cm3, that of the unaffected orbit was 18.06±2.24 cm3 (p-value=0.000). The mean enophthalmos before operation was 1.00±0.62 mm, and after operation was 0.64±0.46 mm. The mean difference of orbital volume between the affected and the unaffected orbits before operation was 1.96±0.33 cm3, and 1.00±0.87 cm3 after operation (p-value=0.000). The mean volume of the affected orbit before operation was 20.23±2.77 cm3, and 19.06±2.57 cm3 after operation (p-value=0.000). Each cubic centimeter decrement in volume caused a 0.67±0.68 mm mean decrease of enophthalmos.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MacroPore(R) was safe orbital implant an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