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종류에 따른 앞방깊이와 굴절력의 변화
목적 : 백내장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종류와 앞방깊이 및 굴절력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4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백내장 수술을 받은 27명 34안을 대상으로 2가지의 단일형인공수정체와 3가지의 세부분형인공수정체를 사용하여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후, 수술 후 1일째, 1주일째, 6개월째 되는 날에 굴절력, 각막두께, 앞방깊이를 측정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수술 후 굴절력은 단일형 인공수정체군(단일형군)과 세부분형인공수정체군(세부분형군) 모두 예상했던 굴절률과 의미 있는 차...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12), , pp.1935-1942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백내장 수술 후 인공수정체의 종류와 앞방깊이 및 굴절력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4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백내장 수술을 받은 27명 34안을 대상으로 2가지의 단일형인공수정체와 3가지의 세부분형인공수정체를 사용하여 백내장 수술을 시행한 후, 수술 후 1일째, 1주일째, 6개월째 되는 날에 굴절력, 각막두께, 앞방깊이를 측정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수술 후 굴절력은 단일형 인공수정체군(단일형군)과 세부분형인공수정체군(세부분형군) 모두 예상했던 굴절률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막두께는 수술 후 1주 이후로는 술 전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굴절력의 변화와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단일형군의 앞방깊이는 수술 후 1일째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수술 후 6개월에는 수술 후 1일째와 비교하여 의미 있게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세부분형은 앞방깊이가 수술 후 1일째 이후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 없이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였다. 결론 : 단일형군과 세부분형군 사이에 앞방깊이 변화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단일형군에서 앞방깊이의 감소는 굴절력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hanges of refraction and anterior chamber depth in pseudophakia with the single-piece intraocular lenses (IOLs) and the three-piece IOLs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This single-center prospective study comprised of 34 eyes in 27 cataract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Eighteen eyes of seventeen patients received the single-piece IOLs, and sixteen eyes of fifteen patients received the three-piece IOLs. At one day, one week, and six months after cataract surgery, the refraction, corneal thickness, and anterior chamber depth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fraction after cataract surge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preoperative predictive refraction in both IOL groups. The corneal thickness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preoperative value at operative day in both groups. However, after 1 week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operative and the postoperative corneal thickness. The anterior chamber depth of the single-piece IOL group decreased constantly, and the decrea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6 months postoperatively. In the three-piece group the anterior chamber depth was stationar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from 1 day postoperatively. Conclusions: There was remarkable difference of the changes of anterior chamber depth after cataract surgery between the single-piece and the three-piece IOL groups. In particular, the relative decrease of anterior chamber depth of the single-piece IOL group would affect the postoperative refractive errors. J Korean Ophthalmol Soc 47(12):1935-1942, 2006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