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색양막을 이용한 띠각막병증의 미용적 치료
목적: 착색양막을 이용한 띠각막병증의 미용적 수술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시력회복의 가능성이 없는 띠각막병증 환자 8명 8안을 대상으로 블레이드와 EDTA를 이용하여 칼슘침착을 최대한 제거한 후 조직염색약을 각막실질에 주입하는 각막문신술을 실시하였다. 칼슘이 제거되지 않아서 착색이 불가능한 부위에는 착색양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띠각막병증의 원인으로 외상(50%)이 가장 많았고, 상피재생까지의 평균기간은 11.3일이었다. 상기 수술을 통해 미용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평균 7.4개월의 경과관찰...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11), , pp.1459-1465 |
---|---|
Hauptverfasser: | ,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착색양막을 이용한 띠각막병증의 미용적 수술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시력회복의 가능성이 없는 띠각막병증 환자 8명 8안을 대상으로 블레이드와 EDTA를 이용하여 칼슘침착을 최대한 제거한 후 조직염색약을 각막실질에 주입하는 각막문신술을 실시하였다. 칼슘이 제거되지 않아서 착색이 불가능한 부위에는 착색양막이식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띠각막병증의 원인으로 외상(50%)이 가장 많았고, 상피재생까지의 평균기간은 11.3일이었다. 상기 수술을 통해 미용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평균 7.4개월의 경과관찰 기간 동안 재발된 경우나 특별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여러 후유증으로 띠각막병증이 발생한 환자에게 각막문신술 및 착색양막이식술은 미용적으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tained amniotic membrane transplantation (AMT) for cosmetic repair of band keratopathy. Methods: Eight eyes from 8 patients with band keratopathy without the possibility of visual improvement were treated with corneal tattooing and stained AMT. Calcific plaques were removed with EDTA and a blade prior to the tattooing. Tattooing by the injection of tissue marking dye into the corneal stroma was performed in corneal opacities. The remaining opacity, which could not be treated with corneal tattooing, was treated with black dye-stained AMT.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 of band keratopathy was trauma (50%) and the mean time to epithelial healing was 11.3 days. All patie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with cosmetic staining. Recurring cases and significant complications were not observed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7.4 months. Conclusions: Cosmetic repair by corneal tattooing and stained AMT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band keratopathy and is not associated with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48(11):1459-1465, 2007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