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에서 컴퓨터 작업의 종류와 작업 시간이 눈깜박임 횟수와 안구건조에 미치는 영향

목적: 청소년에서 컴퓨터 작업의 종류와 작업 지속 시간에 따른 눈깜박임 횟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안구건조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컴퓨터 작업의 종류에 따른 눈깜박임 횟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고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강의와 컴퓨터 게임을 각각 20분간 하는 동안 USB 카메라를 이용하여 눈깜박임 횟수를 측정하였다. 눈깜박임 사이 시간과 각 개인의 눈물막파괴시간을 이용하여 두 가지 컴퓨터 작업에 대한 개개인의 눈보호지수(ocular protection index, 눈물막파열시간/눈깜박임 사이 시간)를 구하였다....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7, 48(11), , pp.1466-1472
Hauptverfasser: 김준성, Jun Sung Kim, 조경준, Kyung Jun Cho, 송종석, Jong Suk Song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청소년에서 컴퓨터 작업의 종류와 작업 지속 시간에 따른 눈깜박임 횟수의 변화를 조사하고 안구건조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컴퓨터 작업의 종류에 따른 눈깜박임 횟수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고등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강의와 컴퓨터 게임을 각각 20분간 하는 동안 USB 카메라를 이용하여 눈깜박임 횟수를 측정하였다. 눈깜박임 사이 시간과 각 개인의 눈물막파괴시간을 이용하여 두 가지 컴퓨터 작업에 대한 개개인의 눈보호지수(ocular protection index, 눈물막파열시간/눈깜박임 사이 시간)를 구하였다. 추가로 이들 중 7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게임을 40분 동안 하게 하여 컴퓨터 작업 시간 경과에 따른 눈깜박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컴퓨터 게임의 눈깜박임 횟수는 분당 5.44±3.29회(평균±표준편차; 중앙값: 5회, 범위: 2∼12.75회), 인터넷 강의는 20.63±11.21회(중앙값: 18.25회, 범위: 4.93∼42.2회)로 컴퓨터 작업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눈보호지수가 1미만인 경우는 컴퓨터 게임의 경우 53%, 인터넷 강의의 경우 13%에서 나타났다(p=0.025). 컴퓨터 게임 첫 10분 동안 눈깜박임 횟수는 평균 59.43회(중앙값 57회), 마지막 10분 동안은 평균 33.86회(중앙값 41회)로 시간 경과에 따라 눈깜박임 횟수가 감소하였으며(p=0.0001), 눈보호지수가 1 미만인 눈깜박임 비율은 게임 첫 10분 동안 평균 27.2% (중앙값 21%)에서 마지막 10분째 평균 48.2% (중앙값 47.6%)로 증가하였다(p=0.003). 결론: 청소년에서 컴퓨터 작업의 중 게임을 할 때가 인터넷 강의를 들을 때에 비해 눈깜박임 횟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안구건조의 위험도가 높았다. 또한 컴퓨터 게임을 하는 시간이 지속될수록 눈깜박임 횟수가 더욱 감소하여 안구건조의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change in blink rate in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type and duration of computer tasks and to analyze the risk of ocular dryness using an ocular protection index. Methods: Fifteen male high school students played computer games and viewed Internet lectures for 20 minutes each. Blink rate was measured by USB camera, and ocular protection index (OPI, the ratio of BUT to inter-blink interval) was calculated for each subject during the two tasks. In addition, 7 of the 15 subjects played computer games again for 40 minutes on another day, and the change in blink rate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omputer games was observed. Results: The average blink rate was 5.44±3.29 per minute (median 5, range 2-12.75) while playing computer games and 20.63±11.21 per minute (median 18.25, range 4.93-42.2) while viewing Internet lectures, and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The percentage of subjects with OPI values less than 1 was 53% for computer games and 13% for Internet lectures (p=0.025). While playing computer games for 40 minutes, the mean of total blinks during ten-minute intervals decreased over time: 59.43 times (median 57) during the first 10 minutes, 33.86 times (median 41) during the last 10 minutes. Conclusions: The blink rate in adolescents was significantly lower and the risk of ocular dryness was higher while playing computer games compared with that of viewing internet lectures. As playing time increased, the blink rate decreased and risk of ocula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