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소스포리움 안내염 1예

목적 : 인간에서 아주 드물게 보고되는 Chrysosporium parvum에 의한 안내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대상과 방법 : 포도를 묶는 철사에 우안의 외상을 받아 방문한 42세 여자 환자에게 우안 각막 열상 진단하에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2일째 약간의 전방축농을 보였으나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점안으로 호전되었다. 퇴원 후 경과관찰 도중 다시 전방축농 악화되어 입원하여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점안으로 호전되었으나 균 동정에는 실패하였다. 이후 지속적인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다가 9개월 후 다시 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5), , pp.858-862
Hauptverfasser: 박용욱, Yong Wook Park, 최병룡, Byung Ryong Choi, 신재필, Jae Pil Shin, 조희태, Hee Tae Cho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인간에서 아주 드물게 보고되는 Chrysosporium parvum에 의한 안내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한다. 대상과 방법 : 포도를 묶는 철사에 우안의 외상을 받아 방문한 42세 여자 환자에게 우안 각막 열상 진단하에 일차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2일째 약간의 전방축농을 보였으나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점안으로 호전되었다. 퇴원 후 경과관찰 도중 다시 전방축농 악화되어 입원하여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점안으로 호전되었으나 균 동정에는 실패하였다. 이후 지속적인 증상의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다가 9개월 후 다시 전방축농이 심해져 2차례에 걸쳐 전방세척술 및 전방 항생제 주입술을 시행한 후 호전되었으나 균 동정에는 실패하였다. 1년 후 다시 안구통증으로 내원하여 검사상 안압이 72 mmHg였으며 전방에 황백색의 삼출물이 360도에 걸쳐 존재하였으며 염증과 안압 조절에 실패하였다. 이후, 안구적출 후 검사 소견상 Chrysosporium parvum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Chrysosporium parvum에 의한 안내염은 전세계적으로 보고가 없는 것으로 저자들은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Chrysosporium parvum endophthalmitis after trauma. Methods: A 42-year-old healthy woman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ocular pain after trauma sustained with a wire used to tie grapes. She showed corneal laceration and iris prolapse of the right eye on slit lamp examination. She underwent primary suture of the corneal laceration. Two days later, she presented with hypopyon of the anterior chamber. She was treated with topical antibiotics and a topical steroid. On follow-up examination, she again presented with hypopyon of the anterior chamber. She was admitted for microbiologic examination and was again treated with topical antibiotics and a topical steroid. Unfortunately, no organisms were identified by culture. Later, she reported a recurrent history of the inflammation. After 9 months, she presented with increased hypopyon of the anterior chamber and was treated with anterior chamber irrigation and intracameral antibiotics injection on two different occasions. But, still no organisams were identified. After one year, the patient visited our clinic with ocular pain and decreased visual acuity. Her intraocular pressure was 72 mmHg and there was whitish infiltration and hypopyon around 360 degrees of the anterior chamber and angle. At the same time, the intraocular pressure and inflammation were uncontrolled. Ultimately, microscopic examination of specimens obtained directly from tissue after enucleation identified the organism as Chrysosporium parvum. Conclusions: We experienced a case of Chrysosporium parvum endophthalmitis after trauma. To our knowledge, this was the first report of a case of Chrysosporium parvum endophthalmitis in the world. J Korean Ophthalmol Soc 47(5):858-862, 2006 KCI Citation Count: 0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