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식수술 후 재발된 근시에 있어 보강수술 방법에 따른 교정 효과의 비교

목적 : 라식수술 후 재발된 근시에 있어 보강수술 방법 차이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라식 후 잔여 혹은 퇴행된 근시로 보강수술을 시행한 총 114명 114안의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까지 나안시력, 굴절검사, 최대교정시력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존의 각막절편을 분리한 후 각막절편을 박리하여 엑시머레이저를 조사한 군은 총 55안(Ⅰ군)이었으며 희석된 알코올을 이용하여 각막상피를 벗겨낸 후 엑시머레이저를 조사한 군은 총 23안(Ⅱ군), 그리고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하여 각막상피를 제거한 후 엑시머레이저를...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3), , pp.349-2
Hauptverfasser: 최진영, Jin Young Choi, 김현창, Hyun Chang Kim, 서경률, Kyoung Yul Seo, 김응권, Eung Kweon Kim, 이형근, Hyung Keun Lee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라식수술 후 재발된 근시에 있어 보강수술 방법 차이에 따른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라식 후 잔여 혹은 퇴행된 근시로 보강수술을 시행한 총 114명 114안의 수술 전과 수술 후 6개월까지 나안시력, 굴절검사, 최대교정시력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기존의 각막절편을 분리한 후 각막절편을 박리하여 엑시머레이저를 조사한 군은 총 55안(Ⅰ군)이었으며 희석된 알코올을 이용하여 각막상피를 벗겨낸 후 엑시머레이저를 조사한 군은 총 23안(Ⅱ군), 그리고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하여 각막상피를 제거한 후 엑시머레이저를 조사한 군은 총 36안(Ⅲ군)으로 세 군으로 나누어 수술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 보강수술 6개월 후 평균 나안시력(Snellen equivalent)과 구면렌즈대응치는 각각 Ⅰ군은 0.96±0.14 (0.026±0.079 logMAR)과 –0.60±0.69D (diopter), Ⅱ군은 0.97±0.15 (0.016±0.078 logMAR)과 –0.91±0.75D, Ⅲ군은 0.89±0.21 (0.079±0.196 logMAR)과 –0.88±0.60D이었다. 세 군에 있어서 보강수술 6개월째 평균 나안시력(p=0.166)과 평균 구면렌즈대응치(p=0.172)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라식 후 재발된 근시 교정에 있어 세가지 보강수술 방법 모두 잔여 혹은 퇴행된 근시의 교정에 효과적이었으며 보강수술 후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Purpose: To evaluate refraction and visual outcome between the enhancement methods on regressed or undercorrected myopia after primary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LASIK). Methods: This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comprised 114 eyes of 114 patients who had enhancement between March 2003 and March 2004. A single surgeon performed all surgeries. Patients were subdivided according to enhancement methods lifting flap group (Group Ⅰ), LASEK enhancement group (Group Ⅱ) and tPRK group (Group Ⅲ). Flap was lifted in 55 eyes and LASEK enhancement was performed in 23 eyes. tPRK was done in 36 eyes. Uncorrected visual acuity (UCVA), best-corrected visual acuity, refractive error was examined prior to, and 1 week and 1, 3, 6 months after enhancement. Results: The mean time between initial LASIK and enhancement were 6.67±2.49 months in Group Ⅰ, 7.86±5.23 months in Group Ⅱ and 6.08±2.38 months in Group Ⅲ. At POD 6 months, the mean postoperative UCVA were 0.96±0.14 (0.026±0.079 logMAR), 0.97±0.15 (0.016±0.078 logMAR) and 0.89±0.21 (0.079±0.196 logMAR) snellen equivalent respectively and thi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166). The mean spherical equivalents were -0.60±0.69D (diopter), -0.91±0.75D and -0.88±0.60D respectively at POD 6 months and this also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p=0.172). Conclusions: All three enhancement methods were useful procedure for correcting residual refractive errors after the primary LASIK. They provided good UCVA, predictable results and few complications. J Korean Ophthalmol Soc 47(3):349-354, 2006 KCI Citation Count: 2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