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발내사시에서 프레넬프리즘의 치료 효과

목적 : 외사시 수술 후 발생한 속발내사시에서 프레넬프리즘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외사시 수술 후 안운동의 제한 없이 발생한 속발내사시에 대하여 1개월 이상 교대 가림치료를 시행하였으나, 복시를 동반한 내사시가 지속된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시가 소실되는 정도의 프리즘디옵터(PD)로 프레넬프리즘을 처방한 후 경과 관찰 중 내편위의 정도가 변화함에 따라 프레넬프리즘의 도수를 교체하였다. 프레넬프리즘 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하였으나, 내편위각이 증가하는 경우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내원 시 편위...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10), , pp.1623-1629
Hauptverfasser: 김연희, Youn Hui Kim, 최미영, Mi Young Choi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 외사시 수술 후 발생한 속발내사시에서 프레넬프리즘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 외사시 수술 후 안운동의 제한 없이 발생한 속발내사시에 대하여 1개월 이상 교대 가림치료를 시행하였으나, 복시를 동반한 내사시가 지속된 환자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복시가 소실되는 정도의 프리즘디옵터(PD)로 프레넬프리즘을 처방한 후 경과 관찰 중 내편위의 정도가 변화함에 따라 프레넬프리즘의 도수를 교체하였다. 프레넬프리즘 치료를 6개월 이상 시행하였으나, 내편위각이 증가하는 경우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내원 시 편위각과 복시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 평균 7.8세에 외사시 수술을 받았으며, 술 후 평균 4.2개월째 원거리에서 평균 15.4PD, 근거리에서 평균 14.8PD의 내사시로 프레넬프리즘을 착용하였다. 18명 중 11명(61.1%)에서 평균 14.8개월 후 프레넬프리즘의 착용을 중단한 상태에서 복시 없이 8PD 이내의 안위를 유지하였다. 2명에서는 내편위가 8PD 이내로 감소하였으나 복시가 지속되었다. 나머지 5명에서는 내편위가 10PD 이상 지속되었으며, 이 중 2명에서는 내사시에 대한 수술을 하였다. 결론 : 외사시 수술 후 복시를 동반한 내사시가 지속된 환자에서 프레넬프리즘 치료를 시도하여 내사시의 정도 및 복시의 빈도를 줄일 수 있었다. Purpos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snel prism treatment in patients with consecutive esotropia after the surgery of exotropia. Methods: Eighteen patients who have failed alternating occlusion therapy at least 1 month for consecutive esotropia without limitation of ocular motility following surgery for an exotropia were managed with Fresnel prism for esotropia associated with diplopia. The Fresnel prismatic power was selected to solve the diplopia and w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esodeviation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he surgical correction was performed in the case with increase of esodeviation in spite of the Fresnel prism therapy for 6 months or more. The angle of deviation and diplopia before and after the Fresnel prism therapy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mean age at surgery for an exotropia was 7.8 years. The Fresnel prism therapy was performed at 4.2 months after exotropia surgery to solve esotropia in average 15.4 prism diopters (PD) at distance and 14.8PD at near. Of the 18 patients 11 (61.1%) had a successful outcome after average 14.8 months, i.e. 8PD or less of esodeviation, with relief of diplopia without the Fresnel prism. Two patients used the Fresnel prism to solve diplopia associated with esodeviation of 8PD or less. Five patients had esodeviation with 10PD or more and 2 of them were eventually needed a operation for esotropia. Conclusions: The Fresnel prism treatment is an effective device in treating diplopia as well as decreasing the frequency of surgery for esotropia in consecutive esotropia with diplopia. J Korean Ophthalmol Soc 47(10):1623-1629, 2006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