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푸르처 유사 망막병증 1예
목적 : 탈구된 인공수정체 제거 및 새 인공수정체의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푸르처 유사 망막병증을 경험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4월 우안의 갑작스러운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한 60세 남자 환자로 탈구된 인공수정체를 제거하고 2차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2일째 교정시력은 0.02로 감소되어 있었으며, 안압은 26mmHg이었다, 과거력상 특이질환은 없었다. 안저검사 및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안저검사에서 시신경유두근처 면화반이 있었고 황반부의 창백 및 앵두반점을 관찰할 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9), , pp.1533-1536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탈구된 인공수정체 제거 및 새 인공수정체의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푸르처 유사 망막병증을 경험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4월 우안의 갑작스러운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한 60세 남자 환자로 탈구된 인공수정체를 제거하고 2차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2일째 교정시력은 0.02로 감소되어 있었으며, 안압은 26mmHg이었다, 과거력상 특이질환은 없었다. 안저검사 및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안저검사에서 시신경유두근처 면화반이 있었고 황반부의 창백 및 앵두반점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광안저혈관 조영소견상 황반 주위 다수의 세동맥의 막힘이 관찰되고 후기에 경도의 세동맥 형광누출이 보였다. 1개월 뒤 안저소견상 황반부종은 더 심해지고 황반주변에 망막출혈과 면화반의 증가를 보였다. 결론 : 본 증례의 경우 푸르처 망망병증을 일으킬만한 전신질환이 없어 정확한 병인은 알 수 없으나 탈구된 인공수정체 제거 및 새 인공수정체 공막고정술 후 발생한 푸르처 유사 망막병증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urpose: We report a case of Purtscher-like retinopathy following the removal of a dislocated IOL and scleral fixation of a new IOL. Methods: A 60-year-old man presented with sudden visual loss of the right eye. An ophthalmologic examination revealed IOL dislocation. He underwent removal of the dislocated IOL and scleral fixation of the new IOL. Visual acuity was 0.02 in the right eye on the second postoperative day. A fundus examination and fluorescein angiography were performed. Results: A peripapillary multiple cotton wool spot, pale macula and cherry red spot were noted in the right eye. Fluorescein angiography showed arteriolar obstruction around the macula and leakage of the mild arteriolar fluorescein dye. At one month follow-up, macular edema, hemorrhage and peripapillary cotton wool spots were increased. Conclusions: This case of Purtscher-like retinopathy following scleral fixation of the IOL did not have any obvious etiologic cause. J Korean Ophthalmol Soc 47(9):1533-1536, 2006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