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식당뇨망막병증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과 아메드밸브 삽입술
목적 :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에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의 임상양상과 아메드밸브 삽입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178명 217안을 대상으로 신생혈관녹내장이 발생한 환자들(18명 20안)의 임상적 특징, 술 전, 술 중 및 술 후 소견을 신생혈관녹내장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과 비교하고 이 환자들에서 아메드밸브 삽입술을 시행한 결과와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신생혈관녹내장의 발생은 제 1형 당뇨병, 유두신생혈관의 유무, 주변신생혈관의 정도...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6, 47(9), , pp.1417-1426 |
---|---|
Hauptverfasser: | ,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 증식당뇨망막병증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에 발생한 신생혈관녹내장의 임상양상과 아메드밸브 삽입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 증식당뇨망막병증으로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178명 217안을 대상으로 신생혈관녹내장이 발생한 환자들(18명 20안)의 임상적 특징, 술 전, 술 중 및 술 후 소견을 신생혈관녹내장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과 비교하고 이 환자들에서 아메드밸브 삽입술을 시행한 결과와 합병증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신생혈관녹내장의 발생은 제 1형 당뇨병, 유두신생혈관의 유무, 주변신생혈관의 정도, 술 전 범망막광응고술의 정도, 술 후 유리체 출혈과 망막박리의 유무와 관계가 있었다. 신생혈관녹내장이 발생한 환자에서 시행한 아메드밸브 삽입술은 안압의 유의한 하강 효과와 시력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전방출혈, 튜브관의 노출, 유리체 출혈의 재발, 견인망막박리, 저안압 및 맥락막박리 등의 합병증이 있었다. 결론 : 증식당뇨망막병증에서 유리체절제술 후에 발생하는 신생혈관녹내장의 위험 요소를 파악해보았다. 아메드밸브 삽입술은 증식당뇨망막병증의 유리체절제술 후 발생하는 신생혈관녹내장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neovascular glaucoma after vitrectomy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nd the effect of Ahmed valve implantatio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17 eyes of 178 patients who had undergone pars plana vitrectomy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were reviewed. The clinical data on preoperative,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factors of thes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ose who developed neovascular glaucoma (20 eyes of 18 patients) after vitrectomy. The effect and complications of Ahmed valve implantation were also reviewed. Results: The type 1 diabetes, the presence of NVD, grade of NVE, grade of preoperative PRP, presence of postoperative vitreous hemorrhage, and postoperative tractional retinal detachment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neovascular glaucoma. Ahmed valve implantation in these patients was effective in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and improving visual acuity. Complications of the Ahmed valve implantation were hyphema, tube exposure, recurrent vitreous hemorrhage, hypotony, and choroidal effusion. Conclusions: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eovascular glaucoma after vitrectomy for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were evaluated. Ahmed valve implantation in these patients is considered an effective treatment for controlling intraocular pressure. J Korean Ophthalmol Soc 47(9):1417-1426, 2006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