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주세포에서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아스코르빈산의 역할
목적: 아스코르빈산이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섬유주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과 산화질소 생성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섬유주세포를 일차배양한 뒤 1, 10, 100 ㎛의 과산화수소에 노출시킨 후 이틀간 배양하였으며 1 mM의 과산화수소에도 일회 노출시켰다. 아스코르빈산에도 동시에 노출시켜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산화질소의 생성을 MTT assay와 Griess assay로 조사하였으며 Annexin-PI 이중염색을 한 후 유세포분석을 시행하여 세포고사를 조사하였다. 결과: 과산화수소는 농도에 따라...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8, 49(12), , pp.1989-1995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아스코르빈산이 과산화수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섬유주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과 산화질소 생성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섬유주세포를 일차배양한 뒤 1, 10, 100 ㎛의 과산화수소에 노출시킨 후 이틀간 배양하였으며 1 mM의 과산화수소에도 일회 노출시켰다. 아스코르빈산에도 동시에 노출시켜 섬유주세포의 생존과 산화질소의 생성을 MTT assay와 Griess assay로 조사하였으며 Annexin-PI 이중염색을 한 후 유세포분석을 시행하여 세포고사를 조사하였다. 결과: 과산화수소는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섬유주세포의 생존을 억제하였으며 산화질소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아스코르빈산을 동시에 처리한 경우 산화질소의 생성이 증가되면서 세포의 생존이 증가하였으며 산화질소의 생성량과 세포의 생존율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유세포분석에서는 아스코르빈산이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고사를 억제하였다. 결론: 섬유주세포에서 아스코르빈산은 과산화수소에 산화스트레스에 대해 산화질소의 생성증가가 동반되어 세포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아스코르빈산의 세포보호효과는 산화질소의 보존작용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ole of L-ascorbic acid (LAA) on the survival and its association with nitric oxide (NO) production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in trabecular meshwork (TM) cells. Methods: Primarily cultured human TM cells were exposed to hydrogen peroxide; 10, 100 ㎛ for 2 days, or 1 mM single exposure with or without co-exposure of LAA. Cellular survival and nitrite production were assessed with MTT and Griess assays, respectively. Flow cytometry using annexin/PI double stain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apoptosis. Results: Hydrogen peroxide decreased cellular survival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accompanied with decreased NO production. However cellular survival and NO production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co-exposure of LAA. Cellular survival and NO were highly correlated. Flow cytometric analysis revealed that LAA inhibited hydrogen peroxide-induced apoptosis. Conclusions: LAA demonstrated a cyto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stress accompanied with increased NO production.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LAA may be mediated by preserving NO in TM cells. J Korean Ophthalmol Soc 2008;49(12):1989-1995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