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공성 폴리에틸렌으로 둘러싼 존스관을 이용한 120예의 결막누낭비강연결술의 5년간의 연구
목적: 다공성 폴리에틸렌으로 둘러싼 존스관(MCTD(R), MEDPOR(R) Coated Tear Drain)를 이용한 비내시경하 결막누낭비강연결술 120예의 수술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2년부터 2007년까지 MCTD(R) 이용하여 시행한 비내시경하 결막누낭비강연결술 120예를 대상으로 수술의 성공률과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수술 시행 시 비내시경하에서 골공을 형성하고, 기구를 이용하여 관이 삽입될 장소를 충분히 넓혔다. 삽입된 관은 5-0 vicryl을 이용하여 결막과 관의 고리부분과 피부를 동시에 묶는 방...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9, 50(9), , pp.1289-1294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다공성 폴리에틸렌으로 둘러싼 존스관(MCTD(R), MEDPOR(R) Coated Tear Drain)를 이용한 비내시경하 결막누낭비강연결술 120예의 수술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2년부터 2007년까지 MCTD(R) 이용하여 시행한 비내시경하 결막누낭비강연결술 120예를 대상으로 수술의 성공률과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수술 시행 시 비내시경하에서 골공을 형성하고, 기구를 이용하여 관이 삽입될 장소를 충분히 넓혔다. 삽입된 관은 5-0 vicryl을 이용하여 결막과 관의 고리부분과 피부를 동시에 묶는 방법(purse string method)으로 고정하였다. 결과: 병인은 일차 누낭비강문합술의 실패가 74예로 가장 많았으며, 특발성 폐쇄가 22예로 두 번째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관의 탈출 4예, 비강측함몰 21예, 결막측돌출 8예, 관의 폐쇄 11예 등이 있었다. 수술 후 107예에서 유루 증상의 호전을 보여 89.1%의 성공률을 보였다. 결론: MCTD(R) 이용한 비내시경하 결막누낭비강연결술은 관의 탈출 합병증이 적어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수술 시 관의 삽입이 어려우며, 관을 제거해야 할 경우 유착으로 인해 제거가 어렵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surgical results of 120 endoscopic conjunctivodacryocystorhinostomy (CDCR) procedures using a porous polyethylene (MEDPOR(R)) coated tear drain (MCTD(R)). Methods: From 2002 to 2007, 120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with endoscopic CDCR using MCTD(R) were investigated for its success rates and complications. After an osteotomy was made under nasal endoscopy, a tunnel was created from the caruncle in the conjunctival sac to the nasal cavity through the newly created ostium, and then the tunnel was enlarged to allow the insertion of the MCTD(R) The length of the tube to be inserted was determined under endoscopic examination. An anchoring suture was placed at the medial canthus to both the conjunctiva and the skin using a 5-0 Vicryl suture in the fashion of a purse string suture. Results: Causes of obstruction included failed dacryocystorhinostomy (DCR) (74 cases) and idiopathic obstruction (22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encountered in four cases with tube loss, 21 cases with a buried tube, 8 cases of extrusion to the conjunctival side, and 11 cases with obstruction caused by conjunctival incarceration or granuloma. The postoperative success rate was 89.1%. Conclusions: The authors concluded that endoscopic CDCR using MCTD(R) is an alternative to the standard conventional method for preventing dislodgement of the tube postoperatively. However, surgeons should consider that it may be challenging to insert the MCTD(R) and that in cases requiring removal, the tube can be difficult to remove due to adhesions.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9):1289-1294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