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안압녹내장에서 안압과 시야결손진행의 관계
목적: 정상안압녹내장에서 안압과 시야결손진행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래에서 안압 측정 시간을 90분 간격, 4구간으로 나눴을 때 각 구간에서 1회 이상 측정된 안압이 있고 2년 이상 관찰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시야결손진행 유무에 따라 시야결손진행군(n=9)과 시야결손비진행군(n=28)으로 나누었다. 치료 전 90분 간격으로 5회 측정한 안압의 평균을 기저안압, 경과 중 가장 높고 낮은 안압을 각각 최고, 최저안압이라 하였다. 모든 안압의 평균값을 평균안압, 최고안압과 최저안압의 차이를 안압변동량이라 하였다....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9, 50(10), , pp.1548-1554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정상안압녹내장에서 안압과 시야결손진행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래에서 안압 측정 시간을 90분 간격, 4구간으로 나눴을 때 각 구간에서 1회 이상 측정된 안압이 있고 2년 이상 관찰한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시야결손진행 유무에 따라 시야결손진행군(n=9)과 시야결손비진행군(n=28)으로 나누었다. 치료 전 90분 간격으로 5회 측정한 안압의 평균을 기저안압, 경과 중 가장 높고 낮은 안압을 각각 최고, 최저안압이라 하였다. 모든 안압의 평균값을 평균안압, 최고안압과 최저안압의 차이를 안압변동량이라 하였다. 4구간 각각의 평균안압을 각 구간안압으로, 구간안압의 최고, 최저값의 차이를 구간안압변동량이라 하였다. 두 군의 여러 안압값을 비교하고, 고혈압, 당뇨, 편두통, 가족력, 시신경유두출혈, 점안 안약수 등도 비교하였다. 결과: 37안을 50.4±18.9개월간 관찰하였다. 시야결손진행군의 기저, 최고안압이 높았으나, (각각 p=0.001, 0.032) 다른 안압 지표와 모든 구간별 안압, 구간안압변동량, 그리고 위험인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정상안압녹내장에서 기저, 최고안압이 높은 경우 시야결손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visual field defect progression (VFP) in normal-tension glaucoma (NTG).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s of patients who were enroll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inclusion criteria: at least one IOP measurement at every section, which was divided into four sections (90 minutes) by IOP measurement time and a follow-up for 2 years or more. Patients were divided into VFP (n=9) and non-visual field defect progression (NVFP, n=28) groups. The baseline IOP was defined as an average IOP measured five times with 90-minute intervals before treatment. The maximal, minimal and mean IOPs were defined as the highest, lowest and average IOPs among all checked IOPs during follow-up. IOP fluctuation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al and minimal IOPs. The section IOP was defined as an average IOP among all checked IOPs in each section, and section IOP fluctuation w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section IOPs. We reviewed and compared the IOP indices of the two groups and the risk factors, including hypertension, diabetes, migraine, familial history of glaucoma, disc hemorrhage, and number of eyedrops. Results: Thirty-seven eyes with an average follow-up of 50.4±18.9 months were included. The baseline and the maximal IO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VFP group (p=0.001 and 0.032, respectively), but the mean, minimal and IOP fluctuations were not different (all, p>0.05). All section IOPs, section IOP fluctuations and other risk factors were not different (all, p>0.05). Conclusions: The baseline and the highest IOPs were a risk factor of VFP in NTG.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0):1548-1554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