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의 임상 양상과 진단 및 치료
목적: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을 가진 환자들에서 임상적인 특징과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서울대학교 병원 안과에서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으로 진단 되고 치료를 받은 시행한 환자 9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14안 중 13안(92.9%)에서 안저 및 형광안저 소견에서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에 특징적인 황색의 망막하 침윤 소견을 보였다. 안과적 증상이 먼저 발생한 경우가 3예, 후에 발생한 경우가 5예, 최종 방문까지 중추신경계 침범이 없었던 경우가 1예 이었다. 림프종의 안구내 침범에 대하여...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09, 50(1), , pp.78-84 |
---|---|
Hauptverfasser: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을 가진 환자들에서 임상적인 특징과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서울대학교 병원 안과에서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으로 진단 되고 치료를 받은 시행한 환자 9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14안 중 13안(92.9%)에서 안저 및 형광안저 소견에서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에 특징적인 황색의 망막하 침윤 소견을 보였다. 안과적 증상이 먼저 발생한 경우가 3예, 후에 발생한 경우가 5예, 최종 방문까지 중추신경계 침범이 없었던 경우가 1예 이었다. 림프종의 안구내 침범에 대하여 방사선 또는 항암 치료를 받은 환자 6명(9안)중 5명 (7안)(77.8%)에서 반응이 있었으며, 이중 4안(3명)에서 안구 내 재발을 보였다. 평균 43.3개월의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사망한 환자는 5명이었으며, 평균 생존 기간은 평균 47개월이었다. 결론: 원발성 안구내 림프종 환자에서 가장 흔한 특징적인 안저 소견은 맥락막의 침윤이다. 안구내 림프종에 대하여 전신 항암치료와 방사선의 병합치료가 안구내 침윤과 유리체혼탁의 소멸에 도움이 되지만 장기적인 생존율은 불량하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of primary intraocular lymphoma (PIOL).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performed in 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as PIOL in the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s: Among patients who were enrolled in the study, 14 eyes were examined. Thirteen eyes (92.9%) showed yellowish subretinal or choroidal infiltrates which is a characteristic finding of PIOL in fundus examination and fluorescein angiography. Three patients presented with ocular symptoms initially, and 5 patients later presented with central nerve system (CNS) involvement. Only 1 patient showed PIOL without CNS involvement. Among 6 patients (9 eyes) that received systemic chemotherapy or ocular irradiation, 5 patients (7 eyes, 77.8%) responded. Among those patients, 3 patients (4 eyes) showed relapse of PIOL. Five patients died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43.3 months,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47 months. Conclusions: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 fundus finding of PIOL is subretinal or choroidal infiltration. Ocular irradiation combined with systemic chemotherapy is the first method of treatment, although long-term prognosis is poor. J Korean Ophthalmol Soc 2009;50(1):78-84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