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량에 따른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주입과 베바시주맙 주입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목적: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주입술과 베바시주맙주입술 후 용량에 따른 안압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0.1 ml를 주입받은 40명과 베바시주맙 0.05 ml 주입술 후 0.1 ml를 재주입받은 40명의 안압을 측정하였다. 트리암시놀론 0.1 ml 주입군(0.1 IVTA군), 베바시주맙 0.05 ml 주입군(0.05 IVB군), 베바시주맙 0.1 ml 주입군(0.1 IVB군) 3집단으로 나눈 후 집단 간과 집단 내에서 주입술 전, 술 후 1일, 술 후 30일의 안압을 비교하였다. 결과: 집단 내 비교...

Ausführliche Beschreibung

Gespeichert in:
Bibliographische Detailangaben
Veröffentlicht in:Daihan angwa haghoi jabji 2010, 51(11), , pp.1491-1498
Hauptverfasser: 박종서, Jong Seo Park, 하성우, Sung Woo Ha, 박성배, Seong Bae Park
Format: Artikel
Sprache:kor
Schlagworte:
Online-Zugang:Volltext
Tags: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Beschreibung
Zusammenfassung:목적: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주입술과 베바시주맙주입술 후 용량에 따른 안압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강내 트리암시놀론 0.1 ml를 주입받은 40명과 베바시주맙 0.05 ml 주입술 후 0.1 ml를 재주입받은 40명의 안압을 측정하였다. 트리암시놀론 0.1 ml 주입군(0.1 IVTA군), 베바시주맙 0.05 ml 주입군(0.05 IVB군), 베바시주맙 0.1 ml 주입군(0.1 IVB군) 3집단으로 나눈 후 집단 간과 집단 내에서 주입술 전, 술 후 1일, 술 후 30일의 안압을 비교하였다. 결과: 집단 내 비교에서 0.05 IVB군과 0.1 IVB군에서는 주입 전 안압에 비해 주입 후 1일 안압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1, P=0.035), 주입 후 30일에는 주입 후 1일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0.1 IVTA군의 경우 주입 전에 비해 주입 후 30일에 안압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시술 후 1일째 0.05 IVB군이 0.1 IVTA군보다 유의한 안압 저하를 보였다. 결론: 0.05 IVB군과 0.1 IVB군은 주입술 시행 후 1일에는 안압이 낮아지고 IVTA군은 술 후 30일에 유의한 안압상승을 보였다. Purpose: To compare intraocular pressure (IOP) changes after intravitreal triamcinolone acetonide versus bevacizumab injection. Methods: IOP was measured in 40 patients who received an intravitreal injection of 0.1 ml triamcinolone and 40 patients who received 2 consecutive intravitreal injections of bevacizumab (0.05 ml and 0.1 ml).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0.1 ml triamcinolone group (0.1 IVTA group), 0.05 ml bevacizumab group (0.05 IVB group), and 0.1 ml bevacizumab group (0.1 IVB group). IOPs were compared within groups at different time points (before, 1 day after, and 30 days after the injection) and between groups at the same time points. Results: In the 0.05 IVB and 0.1 IVB groups, IOP at 1 day after inje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injection (P< 0.01, P = 0.03), and IOP at 30 days after in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OP at 1 day after injection (P < 0.01, P < 0.01). In the 0.1 IVTA group, IOP at 30 days after in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injection (P = 0.01). Between groups, IOP at 1 day after injection in the 0.05 IVB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OP in the 0.1 IVTA group (P = 0.03). Conclusions: IOP was decreased at 1 day after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 whereas in intravitreal triamcinolone acetonide IOP elevation persisted after 1 month.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11):1491-1498
ISSN:0378-6471
2092-9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