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게이지 유리체절제술에서 봉합과 무봉합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
목적: 23게이지 경결막유리체절제술 시행시, 무봉합군과 창상을 모두 봉합한 군의 안압 변화와 합병증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2006년 8월부터 2007년 5월까지 23게이지 경결막유리체절제술을 받은 93명, 100안을 공막절개창 무봉합군(45명, 48안)과 봉합군(48명, 52안)으로 나누어 안압을 비교하였으며, 공기나 가스교환술 또는 백내장 수술을 병행한 경우 또한 비교하였다. 결과: 무봉합군에서 술 후 1일에 3예(6.3%)에서 저안압을 보였고, 이 중 2예는 1주까지 지속되었다, 술 후 1일 이후에 2예...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0, 51(6), , pp.835-841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23게이지 경결막유리체절제술 시행시, 무봉합군과 창상을 모두 봉합한 군의 안압 변화와 합병증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2006년 8월부터 2007년 5월까지 23게이지 경결막유리체절제술을 받은 93명, 100안을 공막절개창 무봉합군(45명, 48안)과 봉합군(48명, 52안)으로 나누어 안압을 비교하였으며, 공기나 가스교환술 또는 백내장 수술을 병행한 경우 또한 비교하였다. 결과: 무봉합군에서 술 후 1일에 3예(6.3%)에서 저안압을 보였고, 이 중 2예는 1주까지 지속되었다, 술 후 1일 이후에 2예에서 저안압이 생겼으며 이는 1주 이후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되었으나 2예에서 일시적인 맥락막박리를 보였고, 망막박리의 합병증이 1예에서 발생하였다. 반면 모든 절개창을 봉합한 군에서는 저안압이 나타나지 않았다. 공기 또는 가스주입술은 술 후 1일 째 일시적인 안압상승, 백내장 동시 수술은 술 후 1주부터 한 달까지 안압하강을 보였다. 결론: 23게이지 경결막무봉합유리체절제술은 그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안압의 위험이 있으므로, 저안압의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또는 확연한 창상누출이 있는 경우에는 창상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compare 23-gauge transconjunctival sutureless vitrectomy (TSV) and sutured vitrectomy in the aspect of intraocular pressure (IOP) changes and complications. Methods: Through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45 sutureless patients (48 eyes) and 48 sutured patients (52 eyes) who had undergone 23-gauge transconjunctival vitrectomy by one surgeon (J.H. Sohn) were compared. IOP was measured routinely pre-operativley, at 1 day, 1 week, and 1 month post-operatively. Postoperative IOP, hypotony (IOP<7 mmHg) rate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hypotony were assess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ases involving intraocular air or gas tamponade or cataract extraction were compared. Results: One day after the surgery, 3 eyes of the sutureless group developed hypotony, which persisted in 2 eyes through post-operative 1 week. Two eyes of the sutureless group developed hypotony 1 week after the surgery. Most of the hypotony cases were transient, but choroidal detachment occurred in 2 cases, and retinal detachment occurred in 1 case. In contrast, none of the sutured group developed hypotony. Intraocular air or gas tamponade significantly raised IOP 1 day after the surgery. When the operation was combined with cataract extraction, IOP was reduced postoperative 1 week and 1 month. Conclusions: The well-known risk factor of 23-gauge sutureless vitrectomy is postoperative hypotony. The present study showed postoperative hypotony can result in retinal detachment as a complication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conclude that suturing the wound for the prevention of hypotony is better, especially in cases with high risk of hypotony or definite wound leakage.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6):835-841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