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교정수술 후 Haigis-L 공식을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
목적: 굴절교정수술 전 자료가 없이 계산을 할 수 있는 IOL Master의 Haigis-L 공식을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과 수술 전 자료를 필요로 하는 방법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라섹수술 후 1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5명 5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공수정체 도수계산은 clinical history method (CHM), Feiz-Mannis method (FMM), modified Masket method (MMM), Haigis-L method (HLM)으로 구하였다. 결과: 인공수정체 도수의...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0, 51(5), , pp.664-669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굴절교정수술 전 자료가 없이 계산을 할 수 있는 IOL Master의 Haigis-L 공식을 이용한 인공수정체 도수계산과 수술 전 자료를 필요로 하는 방법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라섹수술 후 1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5명 50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공수정체 도수계산은 clinical history method (CHM), Feiz-Mannis method (FMM), modified Masket method (MMM), Haigis-L method (HLM)으로 구하였다. 결과: 인공수정체 도수의 평균은 CHM은 23.65D, FMM은 24.45D, MMM는 22.89D, HLM는 23.80D로 각 공식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공식간의 차이는 사후 분석 결과 FMM가 가장 높게 계산되었고, MMM가 가장 낮게 계산되었으며, CHM과 HLM은 비슷하게 계산되었다. 결론: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HLM가 CHM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굴절교정수술 전 자료가 없는 환자에서 Haigis-L 공식을 이용하면 비교적 정확한 인공수정체 도수를 얻을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Haigis-L method of IOL Master that does not require preoperative data for intraocular lens (IOL) power calculation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other methods requiring preoperative data. Methods: Fifty eyes of 25 patients who had undergone laser-assisted subepithelial keratectomy (LASEK) and were followed for 1 month or longer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IOL power was calculated by four different methods: clinical history method, Feiz-Mannis method, modified Masket method, and Haigis-L method. Results: The mean calculated IOL power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clinical history method; 23.65 D, Feiz-Mannis method; 24.45D, modified Masket method; 22.89D, and Haigis-L method; 23.80D. Each IOL power differed statistically from others (P=0.000). The difference between each method was analyzed by the Bonferroni test, with the Feiz-Mannis method showing the highest result and the modified Masket method, the lowest. The clinical history method and Haigis-L method presented similar results. Conclusions: For patients without data prior to corneal refractive surgery, the Haigis-L method is as accurate as the clinical history method. Therefore, comparatively accurate results can be produced in IOL power calculations using the Haigis-L method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0;51(5):664-669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