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주머니 코안연결술 후 발생한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에 의한 피부감염 1예
목적: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후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움에 의한 피부감염이 발생한 환자의 발생양상과 임상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년 전 개인 병원에서 좌안의 실리콘관 삽입술을 받은 후 증상의 호전이 없었던 53세 여자환자가 내원하였다. 피부경유 눈물 주머니코안연결술 시행 후 경과관찰 중 2주째 수술 부위의 부종과 발적이 발생하였다. 이에 6주간 경구 스테로이드와 항생제를 추가 치료하였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변연이 불규칙한 육아종성 조직이 커지는 양상을 보여, 술 후 2개월째 절제 및 조직생검을 시행하 였다. 생검에서...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1, 52(3), , pp.350-354 |
---|---|
1. Verfasser: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후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움에 의한 피부감염이 발생한 환자의 발생양상과 임상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4년 전 개인 병원에서 좌안의 실리콘관 삽입술을 받은 후 증상의 호전이 없었던 53세 여자환자가 내원하였다. 피부경유 눈물 주머니코안연결술 시행 후 경과관찰 중 2주째 수술 부위의 부종과 발적이 발생하였다. 이에 6주간 경구 스테로이드와 항생제를 추가 치료하였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변연이 불규칙한 육아종성 조직이 커지는 양상을 보여, 술 후 2개월째 절제 및 조직생검을 시행하 였다. 생검에서 만성 육아종성조직이 관찰되어 내과 협진 하에 항결핵제 복용을 시작하였다. 항산성 배양검사에서 47일째 중등도의 군집을 이루는 것이 관찰되었고 균동정검사에서 간균인 M. abscessus로 동정되었다. 이에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움에 의한 눈주위 피부감염으로 진단하였고 현재 부종과 발적은 줄어든 상태로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임상적으로 육아종성 감염을 보이는 경우에 일반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면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움에 의한 감염을 염두 에 두고 추가적으로 조직 생검 및 균 배양 검사를 시행하여야 하겠다. Purpose: To report a case of skin infection caused by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after external dacryocystorhinostomy. Case summary: A 53-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to our clinic with a tear on the left eye, although a silicone tube was intubated. Two weeks after external dacryocystorhinostomy, swelling and redness were found on the operation wound. Therefore, the patient received oral antibiotics and steroid treatments but did not improve. The mass was irregularly shaped and became larger; thus, excisional biopsy was performed at 2 months after external dacryocystorhinostomy. A chronic granulomatous tissue was detected in the excisional biopsy, and antimycobacterial medications were started in consultation with an internist. A moderate colony was observed, and rod-shaped bacteria Mycobacterium abscessus was found in the culture 47 days after acid-fast culture was performed.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 periocular infection caused by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Finally, the lesion improved. Conclusions: Although patients with granulomatous tissue receive numerous treatments, if the lesion is not improved, then additional excisional biopsy and culture examination to identify infection by nontuberculous mycobacterium are necessary.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