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부 망막앞막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시력 호전에 관련된 예후인자
목적: 황반부 망막앞막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의 효과 및 술 후 시력과 관련된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황반부 망막앞막으로 유리체절제술 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63명 64안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나이, 발생원인, 술 전 시력, 이환기간, 술 전 황반부두께, 유리체내 가스주입여부에 대하여 술 후 시력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13.21 ± 9.11개월이었고,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평균은 logMAR 0.32 ± 0.34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술 후 logMAR...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1, 52(11), , pp.1302-1307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황반부 망막앞막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의 효과 및 술 후 시력과 관련된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황반부 망막앞막으로 유리체절제술 후 6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63명 64안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나이, 발생원인, 술 전 시력, 이환기간, 술 전 황반부두께, 유리체내 가스주입여부에 대하여 술 후 시력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13.21 ± 9.11개월이었고, 술 후 최대교정시력의 평균은 logMAR 0.32 ± 0.34이었다. 단변량분석에서술 후 logMAR 0.3 이상의 시력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예후인자는 술 전 시력이 좋았던 경우와 이환기간이 짧았던 경우였다(p<0.05).
다변량분석에서도 술 전 시력과 이환기간만이 술 후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irrus HD-OCT를 이용하여 24안에 대해가성 열공, 망막 비후, 망막 주름, 유리체망막견인과 술 후 시력을 분석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황반부 망막앞막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및 망막앞막 제거술 후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으며, 술 전 시력과 이환기간이 예후인자로 판단된다. Purpose: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a favorable outcome after vitrectomy for patients with macular epiretinal membrane (ERM).
Methods: The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cords of 63 patients (64 eyes) with macular ERM, who were treated by vitrectomy between 2003 and 2008, and followed for more than 6 months.
Result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13.21 ± 9.11 months and the mea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fter vitrectomy was log MAR 0.32 ± 0.34.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the patients in the group with a postoperative log MAR of 0.3 or better had better preoperative visual acuity and shorter symptom duration;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e same results. In 24 eyes, intraretinal structures which contained pseudoholes, intraretinal cysts, retinal folds and vitreoretinal traction were analyzed with Cirrus HD-OCT,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visual acuity after vitrectomy.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vitrectomy for macular ERM resulted in favorable visual improvement. The preoperative visual acuity and symptom duration were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