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눈에서 난치성 당뇨황반부종에 대한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사
목적: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눈에서 재발하는 난치성 당뇨황반부종에 대한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눈 중 재발하는 황반부종으로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을 주입받고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16명 17안을 대상으로 주사 전, 주사 후 1, 3, 6개월의 교정 시력 및 빛간섭단층촬영에 의한 황반부 중심 1 mm 영역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 안은 남자 4명, 여자 12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56.9세였으며, 주사 후 logMAR시력은 주사 전 평균 0...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1, 52(7), , pp.832-837 |
---|---|
Hauptverfasser: | ,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한 눈에서 재발하는 난치성 당뇨황반부종에 대한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유리체절제술을 시행 받은 눈 중 재발하는 황반부종으로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을 주입받고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16명 17안을 대상으로 주사 전, 주사 후 1, 3, 6개월의 교정 시력 및 빛간섭단층촬영에 의한 황반부 중심 1 mm 영역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대상 안은 남자 4명, 여자 12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56.9세였으며, 주사 후 logMAR시력은 주사 전 평균 0.70 ± 0.33에서 주사 후 1개월 0.56 ± 0.24과 3개월 0.54 ± 0.21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나(p<0.05), 6개월은 0.61 ± 0.24로 유의성이 없었다(p=0.17). 황반중심영역 두께도 주사 전 평균 493 ± 145 μm에서 주사 후 1개월 323 ± 58 μm, 3개월 343 ± 100 μm, 그리고 6개월 389 ± 156 μm로 모든 기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유리체절제술 후에도 지속되는 황반부종에서 후테논낭하 트리암시놀론 주입은 단기적으로 시력호전과 황반부종의 감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posterior subtenon injection of triamcinolone acetonide (TA) in patients with refractory diabetic macular edema (DME) after vitrectomy. Methods: Seventeen vitrectomized eyes in 16 patients with DME underwent a posterior subtenon injection of TA (40 mg/1.0 ml)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six months. Visual acuity (VA, logMAR) and central subfield macular thickness (CSMT, μm) according to optical coherent tomography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1, 3, and 6 months after an injection of TA. Results: The patients included four men and 12 women with an average age of 56.9 years. VA improved significantly from 0.70 ± 0.33 (mean ± SD) before injection to 0.56 ± 0.24 one month and 0.54 ± 0.21 three months after an injection of TA. Visual acuity at six months was 0.61 ± 0.24 and had no significance (p = 0.17). CSM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469 ± 145 before injection to 323 ± 58, 343 ± 100, and 389 ± 156 one, three, and six months after an injection of TA, respectively. Conclusions: Posterior subtenon injection of TA is effective in the short-term for improving VA and CMT in patients with refractory diabetic macular edema after vitrectomy.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7):832-837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