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시야 결손 여부에 따른 녹내장시야지표의 유용성
목적: 녹내장 진단 시 중심시야 결손 여부에 따른 Visual Field Index (VFI)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녹내장으로 진단된 204안, 정상안 70안에 대하여 시야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전체 녹내장 환자에서 VFI와 다른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MD값을 짝짓기한 후 시야검사상 중심 16점 이내에 결손이 있는 경우(50안)와 없는 경우 (50안)로 분류하여 각 지표들의 녹내장 진단력을 ROC곡선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녹내장 환자에서 VFI는 다른 지표들과 모두 유의한 상...
Gespeichert in:
Veröffentlicht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2011, 52(6), , pp.709-715 |
---|---|
Hauptverfasser: | , , , , , |
Format: | Artikel |
Sprache: | kor |
Schlagworte: | |
Online-Zugang: | Volltext |
Tags: |
Tag hinzufügen
Keine Tags, Fügen Sie den ersten Tag hinzu!
|
Zusammenfassung: | 목적: 녹내장 진단 시 중심시야 결손 여부에 따른 Visual Field Index (VFI)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녹내장으로 진단된 204안, 정상안 70안에 대하여 시야검사와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전체 녹내장 환자에서 VFI와 다른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MD값을 짝짓기한 후 시야검사상 중심 16점 이내에 결손이 있는 경우(50안)와 없는 경우 (50안)로 분류하여 각 지표들의 녹내장 진단력을 ROC곡선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녹내장 환자에서 VFI는 다른 지표들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두 군의 MD,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 나이, 초진시 안압, 중심각막두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중심시야 결손이 있는 군에서 VFI의 AUROC값은 MD 및 망막신경섬유층 평균 두께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PSD와는 차이가 없었다(p=0.332). 반면 중심시야 결손이 없는 군에서 VFI의 AUROC값은 다른 지표들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녹내장 진단 시 중심시야 결손이 있는 경우 VFI는 MD에 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evaluate the glaucoma discrimination ability of visual field index (VFI), a new perimetric index of Humphrey field analyzer II, in glaucoma patients with central and peripheral visual field defects (VFD). Methods: Humphrey visual field test and OCT were performed in 204 glaucomatous eyes and 70 healthy eyes. The associations of VFI with mean deviation (MD), pattern standard deviation (PSD), and averag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RNFLT)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The diagnostic abilities of the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the areas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AUROC). The AUROC were compared between MD-matched patients with central VFD (at least one point with p < 1% within the central most 16 points of 30-2 SITA standard automated visual field) and peripheral VFD (VFD beyond the central most 16 points of 30-2 SITA standard automated visual field). Results: The associations between analyzed parameters and VFI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D, RNFLT, age, intraocular pressure, and central cornea thicknes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 AUROC value of VFI was greater than those of the MD and average RNFLT bu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PSD (p = 0.332) in the central VFD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UROC value of VFI and those of other parameters in the peripheral VFD group (all, p > 0.05).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VFI may be more useful than MD in diagnosing glaucoma, especially in patients with central VFD.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6):709-715 |
---|---|
ISSN: | 0378-6471 2092-9374 |